중소기업계 "현장 다양성 고려해 근로시간 유연화 해야”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3.03.29 23:03

중기중앙회, 근로시간제 개편 현장 의견수렴 간담회 개최
"정부 개편안, 근로시간 총량 늘리는 것 아냐...왜곡 말아야"

중기중앙회 간담회

▲29일 서울 여의도 중기중앙회 본관에서 열린 ‘근로시간 제도개편 관련 중소기업 현장 의견수렴 간담회’ 모습. 사진=중소기업중앙회

[에너지경제신문 김철훈 기자] 중소기업계가 최근 찬반 논란이 거세지고 있는 근로시간 유연화 정책에 대해 소모적 논쟁을 멈추고 현장의 다양성을 고려해 근로시간을 유연화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중소기업중앙회는 근로시간 제도개편에 대한 중소기업 현장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29일 서울 여의도 중기중앙회 본관에서 ‘근로시간 제도개편 관련 중소기업 현장 의견수렴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 간담회에는 제조·IT·출판·도소매·전시 등 다양한 업종별 중소기업 협동조합 이사장·임원 20여명이 참석해 최근 정부가 발표한 근로시간 제도 개편안 및 현장 애로사항에 대해 논의했다.

참석자들은 "대부분 중소기업은 인력을 구하기 어려워 경직적인 주52시간 제도에서는 갑자기 주문이 몰릴 때 대응이 불가능하다"며 "연장근로 단위기간을 기존 주단위에서 월, 분기, 연단위로 확대해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경영난 해소와 일자리 유지·창출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간담회에 참석한 디지털 출력복사업체 대표자는 "대학교 복사실을 예로 들면, 4개월 일하면 2개월 방학이 있어 업무강도 차이가 크고, 대규모 학회가 열릴 때면 철야까지 해야 할 만큼 업무가 집중되는데 현행 주52시간 제도로는 유연하게 근무할 수가 없다"며 "근로시간 제도개편은 일이 있을 때 일하고, 일이 없을 때는 쉴 수 있게 해달라는 것"이라고 호소했다.

특히 참석자들은 "최근 노동계를 중심으로 근로시간 유연화가 마치 근로시간 총량을 늘리는 것처럼 왜곡된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며 우려를 표명했다.

소프트웨어 개발업체 대표는 "언론에서 극단적인 사례가 많이 보도되고 있지만, 장시간 근로를 하는 기업이나 연장근로를 하고 임금을 주지 않는 기업은 살아남기도 힘들어 있을 수 없는 얘기"라면서 "포괄임금 악용 사례만 부각시켜 모든 중소기업을 악덕업체로 몰아가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정윤모 중기중앙회 상근부회장은 "근로시간 제도개편의 핵심은 연간 근로시간의 총량을 늘리는 것이 아니라 단위기간 내에서 근로시간 배분을 유연하게 해 노사 합의에 의한 선택권을 보장하자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 부회장은 "제도개편을 둘러싼 소모적인 논쟁은 이제 멈추고, 중소기업 업종 그리고 직종의 특수성과 다양성을 감안해 근로시간을 유연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발전적인 논의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중기중앙회는 이날 간담회에서 취합한 의견을 바탕으로 중소기업계 건의사항을 정부와 국회 등에 전달할 예정이다.

kch0054@ekn.kr



김철훈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