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디지털헬스케어, 글로벌 비중 ‘0%대’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3.04.02 17:00

■ 산업부·GIA 국내외시장 비교 결과



2021년 국내 1.8조, 글로벌 230조로 고작 '0.8%'



원격진료 금지·부처간 규제장벽 등 성장 걸림돌



이달 발표 정부 의료기기 종합계획에 업계 기대

2023040201000041400001612

[에너지경제신문 김철훈 기자] 코로나 이후 미래산업으로 급부상한 디지털 헬스케어산업에서 우리나라의 글로벌 비중이 1%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 정부와 기업의 ‘ICT 기반의 융복합 선도’ 구호를 무색하게 만들고 있는 것이다.

2일 정부와 헬스케어업계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달 31일 한국디지털헬스케어산업협회와 함께 우리나라 ‘디지털헬스케어’ 산업의 매출·고용·투자·수출입 등을 담은 ‘2021년 국내 디지털헬스케어산업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 조사에 따르면, 지난 2021년 국내 디지털헬스케어 산업 매출은 전년대비 34.6% 성장한 총 1조8227억원을 기록했다.

그러나,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글로벌 인더스트리 애널리스츠(GIA)’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등에 따르면, 같은 해 글로벌 디지털헬스케어 산업 규모는 총 230조원으로 추산된다. 우리나라 디지털헬스케어 산업이 글로벌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에도 미치지 못하는 고작 0.8% 수준에 불과한 셈이다.

산업부에 따르면, 디지털 헬스케어는 ICT 기술을 활용해 질병의 진단·치료와 건강 유지·증진을 목적으로 하는 일련의 활동과 수단으로 정의된다. 디지털치료제(DTx)를 비롯해 웨어러블 진단기기, 원격의료 시스템, 모바일 건강관리 애플리케이션 등이 포함된다. 반면에 치과용 임플란트 등 ICT 기술이 직접 적용되지 않은 의료기기 등은 제외된다.

또한, 디지털 헬스케어는 세계보건기구(WHO), 미국 식품의약국(FDA) 등 기관에 따라 개념정의도 다수 존재하고, 산업범위도 아직 명확하지 않으며, 글로벌 산업통계의 편차도 큰 편이다.

그럼에도 GIA 등 글로벌 시장조사기관과 보건산업진흥원 등 국내외 기관의 통계로 보면 국내 디지털헬스케어 산업이 글로벌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극히 미미한 실정이다.

0005425240_001_20230215105902201

▲오유경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이 지난 2월 15일 충북 청주시 식약처에서 국내 첫 디지털치료제 허가를 발표하며 에임메드의 ‘솜즈(Somzz)’에 대해 브리핑하고 있다. 연합뉴스


업계는 원격의료 금지, 허가심사인력 부족, 산업부·보건복지부·식품의약품안전처 등에 분산된 규제절차 등 높은 규제장벽을 주된 요인으로 꼽고 있다. 낮은 건강보험수가, 전문인력 부족 등도 성장이 더딘 요인이다.

실제로 국내에서는 지난 2월에야 비로소 첫 디지털치료제 식약처 허가 사례(에임메드의 불면증 치료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솜즈’)가 나왔지만 현재 미국에만 60여개 디지털치료제 허가 제품이 있다. 또한 지난해 기준 전 세계 디지털헬스케어 유니콘 기업(기업가치 10억달러 이상의 스타트업)은 총 37개나 되지만 국내 기업은 전무하다.

이 때문에 업계는 지난해 2월 복지부가 관계부처 합동으로 발표한 ‘디지털헬스케어 서비스산업 육성전략’과 4월 중 발표될 것으로 보이는 우리 정부의 첫 중장기 의료기기산업 육성 종합 계획인 ‘제1차 의료기기산업 육성 및 지원 5개년 종합계획( 2023~2027)’ 등에 기대를 걸고 있다.

이 1차 종합계획 초안작성에 관여한 익명의 업계 관계자는 "의료기기산업 육성을 위한 정부 지원예산이 당초 기대보다 큰 규모로 책정돼 업계의 기대감이 크다"고 귀띔하며 "이 종합계획이 디지털헬스케어를 포함한 국내 의료기기산업의 글로벌화에 마중물 역할을 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kch0054@ekn.kr
김철훈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