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 아파트 매입 비중 32%…‘생애 최초’ 40%
대출 규제 완화 및 특례보금자리론 주효
전문가 "젊은 층 아파트 매입 비중 당분간 유지될 것"
![]() |
▲2030세대 및 ‘생애 최초 주택 구매자’ 등 젊은 층의 아파트 매수세가 증가하면서 이로 인해 집값이 반등될 지에 대해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사진은 서울의 한 아파트 전경. 연합뉴스 |
[에너지경제신문 김다니엘 기자] 최근 부동산 시장 하락세가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대출 규제 완화 및 특례보금자리론 출시 영향으로 수요자들의 자금 조달에 숨통이 트이고 있다. 이처럼 대출이 용이해지자 ‘MZ세대’ 및 젊은 층이 다수 포함돼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생애 최초 주택 구매자’들이 매수에 대거 나서면서 이로 인한 집값 반등이 이뤄질지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4일 한국부동산원의 매입자 연령대별 주택거래현황에 따르면 지난 2월 2030세대 젊은 층의 전국 아파트 매입 비중은 1만14건으로 전체 거래량(3만1377건)의 약 31.92%에 달했다. 이는 전월인 29.9%와 비교했을 때 2.1%포인트(p) 상승한 수치이며 33%를 기록한 2021년 1월 이후 25개월 만에 최고치이다.
2030세대의 활발한 매수세는 수도권 부동산 시장에서도 여실히 나타났다. 지난 2월 서울 아파트 거래에서 2030세대는 전월보다 3.9%p 증가한 34.7%의 매입 비중을 차지했다.
젊은 층의 매수세가 되살아나자 일각에서는 부동산 호황기였던 2021년을 언급하며 집값이 바닥을 치고 반등할 것이라는 예상을 내놓고 있다. 집값이 치솟던 2021년 1월 2030세대의 서울 아파트 매입 비중은 44.7%까지 올랐다. 하지만 이후 부동산 시장이 얼어붙으면서 지난해 10월에는 26%까지 하락했다.
젊은 층의 매수세는 상대적으로 집값이 저렴한 지역일수록 높게 나타났다. 서울 25개 자치구 중 2030세대 매수는 강서구(54.7%)·성동구(45.6%)·금천구(45.5%)·영등포구(43.9%)·동대문구(42.9%)·도봉구(41.4%)·강북구(40%) 등 9억원 이하 아파트가 많은 지역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는 중장년층에 비해 보유 자산이 부족한 2030세대가 진입 문턱이 낮은 지역을 위주로 매수세를 키웠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여기에 더해 2030세대가 대거 포함됐을 것으로 예상되는 생애 최초 주택 구매자 비율 또한 9년여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법원 등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달 생애 최초로 아파트·빌라 등 집합건물을 매수한 사람은 2만5296명으로 전체(6만4011명)의 39.52%에 육박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46.5%를 기록한 2013년 12월 이후 9년 3개월 만에 최고치로 기록됐다.
이처럼 2030세대 및 생애 최초 주택 구매자의 아파트 매입 비중이 증가한 것에는 정부의 대출 규제 완화가 주효했던 것으로 분석된다.
정부는 지난 1월 소득과 상관없이 9억원 이하 주택을 대상으로 최대 5억원까지 연 4%대 고정금리로 대출해 주는 특례보금자리론을 출시해 비교적 저렴한 금리로 젊은 층이 자금을 조달할 수 있게 했다.
특히 생애 최초 주택 구매자에게는 규제지역과 상관없이 주택담보대출비율(LTV)을 80%까지 허용하고 국민주택기금에서 지원하는 생애 최초·신혼 디딤돌 구입자금대출 한도 또한 각각 2억5000만원에서 3억원, 2억7000만원에서 4억원으로 상향시키는 등 규제를 완화해 2030세대의 주택 구입이 증가한 것으로 보여진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현상이 당분간 이어질 것임을 시사했다.
서진형 공정주택포럼 공동대표(경인여대 MD상품기획비즈니스학과 교수)는 "2030세대 및 젊은 층들은 태어나서부터 30평대 아파트에 거주한 ‘콘크리트 키즈’이기 때문에 아파트에 대한 구매 욕구가 상당히 강하다"며 "젊은 층의 아파트 매입 비중이 올라간 것은 그들이 현재 부동산 가격이 많이 하락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서 교수는 이어 "젊은 층의 아파트 매입 비중은 당분간 높아질 것"이라며 "이러한 와중에 부동산 가격이 바닥을 다지고 매도세와 매수세의 치열한 공방이 예상된다"라고 덧붙었다.
daniel1115@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