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산업연구원, 4월 전망지수 73.6→85.2 상승
![]() |
▲2023년 4월 아파트분양전망지수 비교 표. 주택산업연구원 |
지난 10월 전국지수 37.1로 역대 최저수준을 기록했던 기저효과와 정부의 규제 완화정책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돼 6개월째 상승세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기준선(100)을 하회하는 수준이다.
6일 주산연에 따르면 세종 28.2p(64.7→92.9), 인천 23.9p(61.3→85.2), 대전 21.6p(68.4→90.0), 대구 18.9p(57.1→76.0), 경남 16.1p(70.6→86.7), 제주 15.3p(72.2→87.5), 경기 14.5p(72.7→87.2), 강원 12.6p(69.2→81.8), 울산 11.8p(70.6→82.4), 전남 11.7p(82.4→94.1)로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전망지수가 10p이상 크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북 7.6p(85.7→93.3), 광주 7.5p(71.4→78.9), 부산 6.3p(72.0→78.3), 서울 4.3p(82.2→86.5), 충남 4.9p(83.3→88.2)도 소폭 상승했다.
반면 전국에서 유일하게 충북이 8.8p(85.7→76.9) 떨어질 것으로 전망됐는데, 이는 지난달 전국에서 가장 높게 전망(85.7)됐던 것에 대한 기저효과로 보인다. 또한 경북은 지난달과 동일한 82.4로 나타났다.
전국적으로 전망치가 상승하며, 작년 하반기 이후 크게 증가한 분양시장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다소 완화됐다.
주산연은 정부의 규제완화 기조 하에 분양시장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분양권 전매제한기간이 대폭 단축(수도권 최대 10년→3년, 비수도권 최대 4년→1년)된 영향으로 판단했다.
그러나 현재까지는 시장이 완전히 회복됐다고 보기 어려워 정부정책 효과가 어떻게 나타날지 지켜볼 필요가 있다는 입장이다.
주산연이 주택사업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3월 대비 4월 분양가격 전망지수는 2.0p 하락, 분양물량 전망지수도 0.1p 감소될 것으로 전망되었고, 미분양물량 전망지수는 16.9p 감소될 것으로 조사되었다.
분양가격 전망지수는 90.9로 여전히 긍정적인 상태로는 전환되지 못하고 있는데, 미분양 물량 누적을 막기 위해 아파트 단지의 할인 분양이 일부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이번달 미분양물량 전망지수는 116.9에서 100으로 16.9p 대폭 감소하였으나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전매제한기간 단축, 무순위 청약요건 폐지 등 정부가 청약규제를 대폭 완화한 것이 미분양물량 증가세를 늦추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단, 미분양물량 증가세는 둔화되었으나 여전히 물량수준은 증가하는 상황으로, 지역별 분양경기 변화추이와 분양가격 등을 고려하여 미분양 현황을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 kjh123@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