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야영장 수 3280개, 4년새 1089개 늘어
여행사 4년연속 감소세…지난해 508개 줄어
![]() |
▲대구 금호강 산격야영장 모습. 사진=연합뉴스 |
[에너지경제신문 조하니 기자] 코로나19 이후 캠핑 열풍이 불면서 야영장도 늘어난 반면에, 여행사 수는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한국관광협회중앙회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전국 야영장 수는 전년 동기보다 407개 늘어난 3280개로 역대 최다치를 기록했다.
지난 2018년 2189개였던 야영장 수는 이듬해인 2019년 2367개, 2020년 2534개, 2021년 2873개로 빠르게 불어났고, 지난해 말 처음으로 3000개를 넘어섰다. 4년만에 49.8%(1091개) 늘어난 셈이다.
지난해 말 기준 전체 야영장 3280개 가운데 일반야영장(2689개)이 82%로 가장 많았으며, 나머지는 캠핑카·트레일러를 이용하는 자동차야영장(591개)이었다.
지역별로 보면 야영장이 가장 많은 곳은 경기도로 전체의 24%(788개) 비중을 차지했다. 다음으로 △강원(659개) △경북(410개) △경남(336개) △충남(286개) △충북(241개) △전남(174개) △전북(141개) △인천(102개) 순이었다. 서울(13개)을 비롯해 광주(6개), 부산(12개), 대전(14개) 등 대도시는 상대적으로 적었다. 일반야영장이 가장 많은 지역은 경기(713개)지만, 자동차야영장은 경남(107개)에 가장 많았다.
야영장은 캠핑과 차박(차에서 숙박)이 인기를 끌면서 꾸준히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코로나19에 따라 가족·연인 등 소규모 단위 중심으로 별도 공간에서 휴식을 취하는 선호도가 높아졌기 때문이다.
야영장의 인기와 반대로 여행사 수는 4년 연속 감소세를 보였다. 지난해 말 기준 여행사 수는 2만398개로 전년 동기와 비교해 508개 줄었다.
여행사는 2018년 2만2544개(연말기준)로 정점을 찍은 뒤 2019년 2만2283개, 2020년 2만1647개, 2021년 2만906개로 하향곡선을 그렸다. 여행사 감소 폭도 2019년 261개에서 2020년 636개로 두 배 이상 커졌고,2021년에도 741개로 확대됐다. 다만, 일상회복이 시작된 지난해는 508개로 감소 폭이 둔화됐다.
inahohc@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