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M, 원자잿값 수직상승 속 공사비용 리스크 관리 탁월
한정된 예산·촉박한 공기·설계변경 등 효율적 관리 가능
CM, 미국시장 최대 40% 차지…국내는 5~10% 제자리 걸음
CM협회, 매년 봄 ‘세계CM의 날 행사’로 선진사업 알려
![]() |
▲지난 10일부터 양일간 국회의사당에서 열린 제13회 세계CM의 날 행사 관계자 기념촬영. 왼쪽 세 번째부터 이원재 국토부 1차관, 김민기 국토교통위원장, 배영휘 CM협회장, 민홍철 국회CM포럼 대표 등. 사진=에너지경제신문 김준현 기자 |
[에너지경제신문 김준현 기자] 건설사업관리(CM: Construction Management)는 선진 건설산업의 척도라고 할 수 있다. 미국 등 선진국에서는 이미 공공·민간 건설시장에 CM이 활발히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는 그 보급 속도가 더디다. 오히려 감리 업무와 혼용되는 경우도 많다. 최근 국회에서 열린 ‘제13회 세계CM의 날’을 맞아 CM의 순기능을 짚어본다. <편집자 주>
◇ CM, 공사비용 증가 분쟁 등 해결
CM은 국내에서 건설공사를 기획하고 타당성을 조사하거나 분석, 설계, 조달, 계약, 시공관리부터 감리와 사후관리 등 ‘관리’를 중점으로 수행하는 사업을 말한다.
발주자의 건설에 대한 이해 부족을 대신해서 사전에 철저한 계획을 통해 예산과 공사기간, 분쟁해결 등을 전문적으로 해결하는 것이 주 업무다. 참고로 미국은 1931년 뉴욕 엠파이어 스테이트빌딩에 CM을 최초로 적용했다. 국내에서는 지난 1993년 미국 엔지니어링 회사 벡텔을 통해 경부고속철도 1단계 사업에 최초로 CM을 적용하기도 했다.
12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1996년 12월 CM이 국내에서 제도적으로 처음 도입된 이후부터 2021년 12월 말까지 총 8835건, 7조9137억원의 실적을 올렸다. 국내 건설시장에서 CM이 차지하는 비율은 5%에서 10% 사이다. 용역형 건설사업관리 점유율이 35~40% 사이인 미국 CM시장과 아직은 크게 비교된다.
국내 CM 대표업체로는 희림종합건축사사무소, 삼우CM건축사사무소, 건축사사무소건원엔지니어링, 무영CM건축사사무소, 정림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전인CM건축사사무소, 해안종합건축사사무소 등이 있다. 특히 희림이 지난 2022년 CM능력평가기준 1184억7400만원의 수주고를 올려 1위를 차지했다.
가장 최근 CM을 적용한 곳은 ‘센터포인트명동 복합시설 신축공사’다. 2017년 9월부터 2021년 12월까지 52개월간 희림이 CM프로젝트를 진행했다. 이 프로젝트는 도심지 철거공사의 위험요인을 사전 분석해 민원최소화 및 공기단축으로 CM효과를 극대화했다는 평가다.
CM협회 관계자는 "CM은 한정된 예산과 촉박한 공사기간 준수, 사업기간 연장이나 설계변경 등 클레임(claim)과 비용증가 리스크를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사업이다"며 "재개발·재건축 등 민간주택 정비사업에서도 전문성이 부족한 조합이 그동안 시공업체에 의존했던 것과 다르게 전문 CM서비스를 찾는 사례가 많아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 제 13회 세계CM의 날 ‘성료’
지난 10일부터 양일간 한국CM협회는 국회CM포럼과 함께 서울 국회 의원회관 제2소회의실에서 ‘제13회 세계 CM의 날 행사 및 제10회 CM서울포럼’을 개최했다.
포럼을 통해 미국과 홍콩, 일본의 CM시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인도네시아의 ‘신행정수도 이전사업’과 뉴욕 롱 아릴랜드 해수문 건설 연구 등도 발표됐다.
행사를 주관한 배영휘 한국CM협회장은 "2010년부터 시작한 세계CM의 날은 CM의 정체성 확립과 확대보급, 정보자료 공유를 위한 네트워크 역할, 참여자들의 소속감과 책임감 고취 등을 기르기 위해 마련됐다"며 "이를 통해 CM이 효율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상호 협력하는 분위기가 활발하게 이어졌으면 한다"고 전했다.
민홍철 더불어민주당 의원(국회CM포럼 대표)은 "건설산업이 디지털 기술을 융합한 스마트 건설기술의 발전이 점차 가속화돼 생산프로세스 관리기술이 경쟁력의 핵심이 돼가는 시대다"며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하루빨리 고급화된 CM전문인력을 양성하고 차별화된 CM시스템을 갖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원재 국토교통부 1차관은 "페루 친체로 신공항 건설이나 사우디 네옴시티 등 대형프로젝트 수주가 기대되는데 이러한 글로벌 시장에서 CM의 역할이 더 커질 것이다"며 "정부는 공공건설이 시공단계 CM에만 편중된 문제와 CM을 감리로 인식하는 문제에 대해 해결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것이다"고 밝혔다. kjh123@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