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골드라인 수요 분산대응…역사 관리 인력 투입·버스 증차 추진
5호선 연장 사업 적극 협력…김포~서울 ‘수륙양용버스’ 새롭게 도입
![]() |
▲서울시가 김포골드라인 혼잡도 완화를 위해 특별대책을 추진하기로 했다. 14일 오전 김포 골드라인 김포공항역에서 승객들이 이동하고 있는 모습. 연합뉴스 |
14일 서울시에 따르면 김포골드라인은 서울교통공사 자회사가 위탁운영하는 노선으로 시는 역사 내 혼잡도를 관리할 수 있도록 ‘컷팅맨’ 등 교통공사 자체 인력을 배치해 역사내 이동동선 분리, 환승구간 안내 등 혼잡관리에 나선다. 시계외 운영철도이지만 승객 대부분이 서울 출퇴근 진입 이용자이며 서울 5·9호선 역사 혼잡도와도 연계된 만큼 수도권 시민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한 조치다.
◇ 시내·광역버스 증회 추진…‘버스전용차로’도 설치
우선 김포골드라인 혼잡 완화를 위한 지원책으로 대체수단인 버스가 추가 투입될 예정이다. 서울시는 시내버스와 광역버스를 증회하고 향후 수요에 따라 추가 증차도 고려하기로 했다.
김포골드라인과 동일한 구간을 운행하는 김포시 시내버스 70번 노선을 증회하고 출근 시간대 서울시로 진입하는 버스의 배차간격이 최대 10분 단축될 수 있도록 경기도와 협조를 마쳤다. 이후 필요시 추가 증차도 고려할 예정이다.
김포골드라인 대체노선 버스인 3000번은 6회, M6117번은 2회 증회를 시행할 예정이며 추가적으로 한강신도시~김포공항역 간 셔틀버스 운행도 관계기관과 협의해 추진할 방침이다.
버스의 정시성 확보를 위해 개화역~김포공항 구간에 대해서도 버스전용차로를 조속히 설치할 계획이다. 운영방식, 운영시간 등 구체적인 사항에 대해서는 대광위 및 김포시 등 관계기관 협의를 통해 실효성 있는 방안을 마련한다.
![]() |
▲김포에서 서울을 오가는 수륙양용버스 도입이 검토 중이다. 사진은 수륙양용버스 예시. 서울시 |
5호선 김포 검단 연장사업도 논의 중이다. 서울시는 수도권 서북부의 광역교통망을 효과적으로 구축하기 위해 지난해 11월 ‘방화차량기지와 건설폐기물 처리업체 등 이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 바 있다. 현재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는 김포시와 인천시간 이견으로 난항을 겪고 있는 5호선 세부노선 확정을 위한 중재를 하고 있으며 서울시는 사업이 속도감 있게 추진될 수 있도록 조속히 세부노선이 확정될 수 있도록 촉구할 계획이다.
새로운 교통수단인 수륙양용버스(40인승 이상) 도입도 적극 검토되고 있다. 김포아라뱃길과 서울항을 연계하는 등 구체적인 실행방안을 마련 중이다.
수륙양용버스는 김포를 출발해 한강공원 선착장까지는 한강을 이용하고 한강공원부터 인근 지하철역까지는 도로를 이용해 환승 없이 직결로 운행 가능한 수단이다. 시는 관련 법제도 및 기반시설 검토 등을 거쳐 최적 노선을 선정하고 최대한 이른 시일내 구체적인 실행계획을 발표할 예정이다.
오세훈 시장은 이날 오전 김병수 김포시장과 혼잡도 개선 방안 논의를 위한 통화를 나눈 것으로 알려졌다. 오 시장은 "김포골드라인 혼잡 개선이 매우 시급한 만큼 가동 가능한 모든 사항을 동원해 총력을 기울일 것"이라며 "경기·인천 수도권은 하나의 생활권으로서 수도권 시민들의 교통불편 해소를 위해 전방위적인 대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giryeong@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