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커스] 고양시 ‘발밑 안전’ 강화…시민불안 해소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3.04.14 22:59
이동환 고양특례시장

▲이동환 고양특례시장. 사진제공=고양특례시

[고양=에너지경제신문 강근주 기자] 2018년부터 2022년까지 5년간 지하안전정보시스템(JIS)에 입력된 고양특례시 지반침하 건수는 30건으로 나타났다. 원인은 주로 상하수관 손상, 굴착공사 때문이며 최근 집중호우에 따른 지반침하도 잦아지고 있다.

이동환 고양특례시장은 14일 "각종 지반조사와 함께 원인 분석, 대책 마련을 위한 용역을 실시해 지하 안전성을 강화하겠다"며 "체계적인 지하안전관리로 피해를 예방하고, 시민안전을 최우선으로 삼아 시민 불안을 해소해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차량형 지표투과레이더(GPR) 탐사

▲차량형 지표투과레이더(GPR) 탐사. 사진제공=고양특례시

◆ 도로 아래 ‘숨은구멍 찾기’…GPR 탐사장비 동원

고양시는 2021년 7월부터 2022년 12월까지 공동(空洞) 때문에 생기는 도로침하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지반탐사를 진행했다. 2018년부터 시행된 ‘지하안전관리 특별법’에 따라 지하시설물 관리자는 연 1회 이상 육안 점검과 5년마다 1회 이상 공동 조사를 해야 한다.

고양시는 지하안전법 제정 이후 처음 실시한 공동 조사를 효율적으로 진행하기 위해 지하시설물관리자협의체를 구성해 통합 탐사를 실시했다. 국도 등 57개 도로 노선과 민원 구간에 약 21억원 사업비를 들여 추진했다. 특히 지표투과레이더(GPR) 탐사장비를 이용해 노면으로부터 1.5~2m 아래 빈 공간을 조사했다. 확인된 196개 공동에는 친환경 유동성 채움재를 주입하거나 굴착공사로 신속하게 복구를 마쳤다.

지하시설물관리자협의체에는 한국가스공사, 한국수자원공사, 한국전력공사, 한국지역난방공사, 국가철도공단, 서울도시가스(주), 한국동서발전(주) 등 7개 기관(11개 지사)이 함께한다. 2021년 9월 협약을 체결했으며 지하시설물 관리주체로서 통합정보체계 구축을 위해 정보를 공유하고 합동 안전점검 등을 수행하고 있다.

일산-화정 지반조사 및 관리대책 수립 용역 착수보고회

▲일산-화정지역 지반조사 및 관리대책 수립 용역 착수보고회. 사진제공=고양특례시

지하 공동 유동성 채움재 주입

▲지하 공동 유동성 채움재 주입. 사진제공=고양특례시

◆ 일산-화정 지반조사-관리대책 수립용역 진행 중

올해 1월부터 일산신도시 전체와 덕양구 화정동 일부 등 약 16.5㎢ 구간에 지반조사 및 관리대책 수립을 위한 용역이 시작됐다. 2월 열린 착수보고회에 고양시 지하안전위원회와 관련 부서가 참석해 지하안전 확보를 위한 추진 방향 소개와 질의응답, 개선방안 등을 집중 논의했다.

이번 용역은 내년 3월까지 진행하며 △사고사례 분석으로 지반침하 영향 인자 도출 △지반침하 관리지역 지반조사 △지하수 계측 등을 실시한다. 용역 결과를 바탕으로 시설물 관리강화 대책을 마련하고, 지반침하 관리 맵과 매뉴얼을 만들어 지역 현황에 맞는 방안을 수립할 계획이다.

고양특례시 노후 하수관로 정비

▲고양특례시 노후 하수관로 정비. 사진제공=고양특례시

◆ 지하안전관리계획 매년 수립…20년이상 하수관로 정비

고양시는 지하를 안전하게 개발-이용할 수 있는 관리체계를 확립하고자 2021년부터 매년 지하안전관리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올해 지하안전관리계획은 4월 내 구축 예정이며 지하안전관리 정책을 통합적으로 운영하는 방안과 추진과제를 제시한다. 또한 실태점검을 강화하고, 각종 지하시설물 관리자 간 상호협력 등 체계적 기반을 확보한다.

아울러 상-하반기에 각각 고양시 지하안전위원회 전문가와 함께 지하 10m 이상 굴착공사 중인 지하개발 사업장을 대상으로 지하안전평가 협의내용 이행 실태를 점검할 계획이다.

고양시는 20년 이상 노후화된 하수관로를 선제 정비해 지반침하 등을 미연에 방지하고 있다. 2020년부터 관내 전역에 1, 2단계 정비사업을 통합 실시하고 있으며 올해 안으로 약 40Km에 달하는 노후하수관로 정비를 마무리할 예정이다.
kkjoo0912@ekn.kr

강근주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