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사, 디스플레이 특허 소송 등 분쟁…OLED 분야 특허로 번져
삼성디스플레이 주도 플렉시블 OLED 분야도 BOE 추격 거세
![]() |
▲2월 삼성디스플레이 아산캠퍼스를 방문한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의 모습. |
[에너지경제신문 여이레 기자] 삼성디스플레이와 중국 업체 BOE가 특허 분쟁을 겪는 등 디스플레이 주도권 잡기 싸움이 한창이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한국을 방문했던 중국 천옌순 BOE 회장이 삼성전자를 찾지 않고 돌아갔다. 천 회장이 삼성전자를 방문하지 않고 돌아간 데에는 최근 격화되고 있는 BOE와 삼성전자·삼성디스플레이 간의 특허 소송이 영향을 줬다는 분석이다.
지난해 12월 삼성디스플레이는 BOE를 상대로 특허 침해 소송을 제기했다. 당시 삼성디스플레이는 "(삼성디스플레이의 OLED 특허인) ‘다이아몬트 픽셀’을 침해한 부품·패널을 사용하지 않게 해 달라"라는 내용으로 미국 부품 도매 업체 17곳을 미국 국제무역위원회(ITC)에 제소했다.
이에 반발한 BOE는 삼성전자와 삼성디스플레이 중국법인, 현지 주요 파트너사들을 상대로 특허 침해 혐의로 제소했다. 업계는 이번 BOE의 소송이 작년 삼성디스플레이가 미국 ITC에 소송을 제기한 데 대한 보복 조치인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피고로 지목된 기업은 △삼성전자 중국법인 △삼성디스플레이 동관법인 △삼성디스플레이 천진법인 △삼성반도체 시안법인 △삼성벤처투자 중국법인 △경동지아핀트레이딩 등이다. 충칭 제1중급인민법원에 계류 중인 소송은 총 9건이며 이 중 1건에 대한 재판이 오는 18일 이뤄질 예정이다.
현재 한국과 중국은 디스플레이 시장에서 액정표시장치(LCD)에 이어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시장에서 경쟁하고 있다.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은 전체 디스플레이 시장 점유율 42.5%로 1위를 차지했다. 한국은 36.9%로 2위에 올랐다. 특히 중국은 LCD 시장에서 절반 이상 점유율을 차지했다.
중국의 저가 LCD 물량 공세에 국내 디스플레이 업계는 수익성이 낮은 LCD 사업을 접고 OLED에 집중하고 있으나 중국의 추격도 매섭다. 글로벌 디스플레이 시장에서 중국 OLED가 차지하는 비중은 2021년 27.3%에서 지난해 34.3%로 상승했다. 중국의 중소형 OLED 시장 점유율 확장 속도 역시 과거 중국이 중소형 LCD 시장 지배력을 높일 당시 속도보다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BOE가 단순히 가격만을 두고 삼성디스플레이와 경쟁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플렉시블 OLED 분야에서 BOE는 올해 전년보다 47.89% 늘어난 1억1950만장을 생산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어 아이폰15 패널 물량 중 15%를 수주할 전망이다. TV용 대형 OLED 패널 상용화에도 나서고 있다.
아울러 BOE는 쓰촨성 성두 지역 B16 공장에 신규 8.6세대 OLED 디스플레이 패널 생산라인을 건설 계획을 발표하며 8.6세대 태블릿과 노트북용 OLED 생산에 4조1000억원을 투자하는 삼성디스플레이를 따라잡으려 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중국이 OLED 산업에 의욕적으로 나서는 만큼 경쟁은 치열해질 수 밖에 없다"며 "지금은 한국이 주도권 사수를 위한 중요한 시점"이라고 전했다.
gore@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