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KT Customer부문장 강국현 사장이 ‘지니 TV 올인원 셋톱박스’를 소개하고 있다. |
[에너지경제신문=정희순 기자] 이동통신 3사의 ‘캐시카우’로 여겨졌던 미디어 사업이 비상에 걸렸다. 인터넷TV(IPTV) 가입자 수 증가율 둔화 때문이다. 이통 3사는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와의 연계를 확대하고, 프리미엄 전략을 구사하며 돌파구를 찾고 있다.
29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최근 ‘2022년 하반기 유료방송 가입자 수와 시장 점유율’ 결과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지난해 하반기 IPTV 가입자 수는 2056만명으로, 직전 반기대비 36만명(1.8%) 느는 데 그쳤다. 앞서 과기정통부가 발표한 통계를 살펴보면 IPTV 가입자수는 2020년 하반기 4.3% 성장률을 보인 이후 지속적으로 하락세다.
케이블방송을 포함한 유료방송으로 가입자 수를 조사한 통계는 더 심각하다. 지난해 하반기 IPTV·종합유선방송(SO)·위성방송 등 유료 방송 가입자 수는 3624만8397명이다. 지난해 상반기보다 가입자가 0.67% 증가했다. 직전 반기 대비 유료 방송 가입자 수 증가율이 0%대에 그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 IPTV, 정체 맞은 원인은?
업계에선 비혼(非婚)과 저출산 등 인구구조의 변화가 이 같은 결과를 초래했다고 보고 있다. 결혼이 많아야 가구 분리가 일어나고 IPTV 가입자 수도 늘게 되는데, 1인 가구만 늘다보니 OTT에만 유리한 판이 됐다는 설명이다. 실제 미국 등 해외에서는 OTT를 이용하면서 기존 IPTV, 케이블TV를 해지하는 ‘코드 커팅’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강국현 KT 커스터머부문장은 최근 기자들과 만나 "한국의 유료방송 사업자가 다 힘든 상황"이라며 "아직 전체 시장 규모는 줄지 않아 그나마 잘 견디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IPTV로는 ‘볼 게 없다’는 인식 역시 업계가 넘어야할 산이다. 덩치를 키운 OTT들은 자체제작에 나서며 콘텐츠 확보에 열을 올리고 있고, 영화판에서도 IPTV와 주문형비디오(VOD)를 건너뛰고 OTT 독점공개를 선택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VOD 수익 감소는 IPTV 매출 하락의 부메랑이 되어 돌아오고 있다.
◇ "가입자는 못 늘려도…매출은 늘릴 수 있다"
IPTV 업계는 가입자당 매출액(ARPU)을 올려 돌파구를 모색한다는 계획이다. 프리미엄 셋톱박스를 출시하거나, 맞춤형 광고상품을 출시해 광고 단가를 높이는 방법도 구사하고 있다. KT는 지난 18일 IPTV용 ‘지니TV 올인원 셋톱박스(STB)’를 선보였다. IPTV 셋톱박스, 무선인터넷 공유기, 인공지능(AI) 스피커를 통합한 제품이다. 앞서 3사는 셋톱박스의 시청 이력을 바탕으로 맞춤형 광고를 제공하는 ‘어드레서블TV 광고 통합 플랫폼’을 공동 구축했다.
OTT를 경쟁자가 아닌 동반자로 삼고, 제휴를 확대하는 방안은 3사 모두 추진 중이다. 이용자가 원하는 콘텐츠를 담은 ‘미디어 포털’을 만들고 여러 OTT를 품는 방식으로 고객 편의성을 높이는 데 주력한다.
업계 관계자는 "인구 구조의 영향이 있다고 판단하고 있는 만큼, 전체 가입자 성장보다는 매출 성장이 목표"라며 "프리미엄 가입자를 늘리는 데 주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hsjung@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