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선 성공 에르도안, 종신집권 길 열었다…"국민 모두 승리"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3.05.29 10:15
TURKEY-ELECTION/

▲28일 지지자들에 인사하는 에르도안 튀르키예 대통령(사진=로이터/연합)

[에너지경제신문 박성준 기자]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튀르키예 대통령이 28일(현지시간) 결선 투표에서 승리해 재선에 성공했다. 이번 재선으로 에르도안 대통령은 2003년 첫 집권 이후 2033년까지 최장 30년에 달하는 사실상의 종신집권에 도전할 수 있게 됐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에르도안 대통령은 결선투표 개표가 막바지에 달한 이날 오후 8시15분께 이스탄불 거처 앞에서 지지자들을 상대로 "앞으로 5년간 튀르키예를 통치할 책임을 다시 맡겨준 모든 국민에게 감사한다"고 말했다.

이어 "여러분의 의지는 투표함에서 튀르키예의 굽히지 않는 불변의 힘이 됐다"며 "신의 뜻에 따라 여러분의 믿음에 보답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또 "튀르키예가 오늘 유일한 승자"라며 "8500만 국민 모두가 승리했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이번 승리로 ‘튀르키예 세기’의 문이 열렸다"면서 "이번 선거 결과는 아무도 튀르키예의 이익을 탐낼 수 없다는 것을 다시 한번 보여줬다"고 강조했다.

같은 시간 국영 TRT 방송과 a뉴스 등 방송들도 일제히 에르도안 대통령이 재선에 성공했다고 보도했다.

이후 튀르키예 선거관리위원회인 최고선거위원회(YSK)도 에르도안 대통령의 대선 결선투표 승리를 공식 발표했다.

YSK 아흐멧 예네르 위원장은 국내외 투표함 99.43%를 개표한 결과 에르도안 대통령이 52.14%를 얻어 승리했다고 밝혔다. 공화인민당(CHP) 케말 클르츠다로을루 대표는 47.86%를 득표했다.

이에 따라 2018년 취임한 에르도안 대통령은 2028년까지 추가로 5년간 집권하게 됐다. 중임 대통령이 임기 중 조기 대선을 실시해 당선되면 추가 5년 재임 가능한 헌법에 따라 2033년까지도 집권할 수 있는 길을 열었다. 이 경우 2003년 총리로 시작된 그의 집권 기간은 30년까지로 연장된다.

에르도안 대통령의 이번 대선 승리는 선거 직전 예상을 뒤집은 결과다.

이번 대선은 지난해 10월 기준 전년 대비 85%가 넘는 극심한 인플레이션에 리라화 가치 폭락 등으로 경제가 파탄 직전인 상황에서 치러졌다.

게다가 지난 2월에는 21세기 최악의 재난 중 하나로 꼽히는 대지진이 발생했고, 이에 대한 정부의 부실 대응과 부패 문제가 정권 심판론으로 이어졌다.

선거 때마다 사분오열했던 야당도 이번에는 6개 당이 반(反)에르도안을 기치로 단일후보를 내세웠다.

선거 직전 여론조사에서 에르도안 대통령의 지지율은 40%대 초반에 머문 반면, 6개 야당 단일 후보인 공화인민당(CHP) 케말 클르츠다로을루 대표의 지지율은 40% 후반에서 50%를 넘나들었다. 일각에서는 클르츠다로을루 대표가 1차 투표에서 과반 득표로 당선을 확정할 수 있을 것이라는 예측도 나왔다.

그러나 뚜껑을 열자 결과는 정반대로 나왔다.

에르도안 대통령은 1차 투표에서 아깝게 과반에 미달한 49.52%의 득표율로 44.88%의 클르츠다로을루 대표를 따돌렸다.

여기에 1차 투표에서 5.17%를 득표해 3위를 차지한 승리당 시난 오안 대표가 에르도안 대통령을 지지하면서 결선투표를 앞둔 에르도안 대통령이 승기를 휘어잡았다. 1차 투표와 함께 실시된 총선에서 집권당인 정의개발당(AKP) 연합이 600석 중 323석으로 과반 의석을 차지한 것도 에르도안 대통령의 재선 가도를 든든하게 뒷받침했다.

클르츠다로을루 대표는 이번 개표 결과에 대해 "이번 선거는 최근 수년간 가장 불공평한 선거 중 하나였다"면서도 "권위주의 정부를 바꾸려는 국민의 의지를 보여줬다"고 말했다.

아울러 그는 "국가 앞에 기다리는 어려움들에 대해 깊은 슬픔을 느낀다"며 "나는 나의 투쟁을 계속하겠다. 여러분도 민주주의를 위한 투쟁을 계속해달라"고 당부했다.

이번 선거는 국제사회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이란 분석이 나왔다. 미국으로선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내에서 튀르키예의 독자 노선에 따라 난처한 입장이 계속될 것으로 보이는 반면, 러시아로선 튀르키예와 경제협력을 지속하면서 서방의 제재 충격을 완화하는 등 숨통이 트이게 됐다.

박성준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