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2023년 4월 주택 미분양·착공·거래량 등 발표
4월 누계 인허가 23.3%, 착공 43.2%, 분양 50.3% 감소
미분양 주택 7만1000여 가구…악성 미분양은 8716가구
![]() |
▲올 들어 1∼4월까지 아파트 분양이 반토막난 가운데 착공은 41% 감소해 공급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
30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2023년 4월 기준 주택 통계 발표’에 따르면 4월 말 기준 미분양 주택은 총 7만365가구로 집계돼 전월 7만2104가구 대비 1.0%(739가구) 감소했다. 반면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후 미분양은 8716가구로 전월 8650가구 대비 0.8%(66가구) 늘었다.
‘악성 미분양’보다 심각한 것이 인·허가 및 착공 감소다. 4월 누계(1~4월) 기준 주택 인·허가는 12만3371가구로 전년 동기 대비 23.3% 감소했다.
구체적으로 1~4월 누계 수도권 인·허가는 4만4566가구로 전년 동기 대비 23.7% 감소, 지방은 7만8805가구로 전년 동기 대비 23.1% 줄었다. 이 중 서울은 6.2%, 인천은 21.9%, 경기는 31.5% 감소했다.
착공은 6만7305가구로 전년 동기 대비 43.2% 감소했다. 수도권은 3만7546가구로 전년 동기 대비 44.5% 감소, 지방은 2만9759가구로 전년 동기 대비 41.6% 줄었다. 이중 아파트는 5만2343가구로 전년 동기 대비 41.1% 줄었고, 아파트 외 주택은 1만4962가구로 전년 동기 대비 49.4% 줄었다.
분양(승인) 역시 4월 누계 3만9231가구로 전년 동기 대비 50.3% 줄었다. 수도권은 2만4206가구로 전년 동기 대비 42.9% 감소, 지방은 1만5025가구로 전년 동기 대비 58.9% 줄었다.
일반분양은 2만9039가구로 전년 동기 대비 53.6% 감소, 임대주택은 2394가구로 전년 동기 대비 68.6% 감소, 조합원분은 7798가구로 전년 동기 대비 10.3% 줄었다.
그런가 하면 입주와 연결되는 준공은 4월 누계 12만3083가구로 전년 동기 대비 12.4%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수도권은 7만1205가구로 전년 동기 대비 13.7% 증가, 지방은 5만1878가구로 전년 동기 대비 10.6% 증가했다. 아파트는 9만7411가구로 전년 동기 대비 19.9% 늘었난 반면 아파트 외 주택은 2만5672가구로 전년 동기 대비 9.3% 감소했다.
아울러 4월 주택 거래량은 신고일 기준 총 4만7555건으로, 전월 대비 9.1% 감소, 전년 동월 대비 18.6% 줄었다.
전·월세 거래량은 총 21만9317건으로, 전년 동월 대비 15.3% 감소했으나, 4월 누계(1~4월) 기준 전월세 거래량은 97만1449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1.9% 증가했다.
부동산업계 한 관계자는 "최근 미분양이 증가했다는 이유로 지자체도 인·허가를 줄이고 있고, 건설사도 착공에 들어가지 않으며, 분양은 지속 뒤로 미루고 있는 현상이 늘어나고 있다"며 "이렇게 되면 나중에 또 공급량이 부족해서 부동산 시장이 불안정해질 수 있어 이같은 상황도 미리 대비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kjh123@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