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엔지니어링, AI기반 설계자동화 기술 선도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3.05.31 17:08

‘공정배관계장도(P&ID) 자동 인식 시스템’ 자체 개발

사진1 (27)

▲현대엔지니어링 ‘공정배관계장도(P&ID) 자동 인식 시스템’ 작동 화면. ‘공정배관계장도(P&ID) 자동 인식 시스템’이 도면 상 심볼(기호),라인(배관),텍스트 등을 인식하고 있다.

[에너지경제신문 김지형 기자] 현대엔지니어링이 건축,플랜트 등 사업부문에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인공지능(AI) 기반 설계 자동화 기술을 적극 연구개발하며 업계를 선도하고 있다.

현대엔지니어링은AI를 활용한 ‘공정배관계장도(P&ID, Piping & Instrumentation Diagram)자동 인식 시스템’을 구축했다고 31일 밝혔다. P&ID는 사업 초기 발주처로부터 인계되는 자료로 주요 공정 정보를 담고 있는 설계 도면이다.

‘P&ID 자동 인식 시스템’은 AI 딥러닝(Deep Learning) 및 컴퓨터 비전(Computer Vision) 등을 기반으로 P&ID를 인식해, 배관 및 계장 목록과 CAD 도면등의 산출물을 자동생성 하도록 개발된 시스템이다.현재,현대엔지니어링이 실제 진행하고 있는 인도네시아 석유화학단지프로젝트, 사우디 자푸라 가스처리시설프로젝트 등의 도면을 이용한 검증작업을 진행 중이며, 올해 내 사업 적용을 목표로 하고 있다.

P&ID 자동 인식 시스템이 투입되면 도면 당 1~2분 내 모든 정보를 인식하고추출해, 산출물을 생성해 낼 수 있다.기존에는 설계자가 수기로 도면을 분석하고 정보를 추출하는데 많은 시간과 노력을 기울여야 했던 것에 비해 공기를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다.

도면 분석 정확도도 향상된다. 내부 테스트 결과, P&ID 자동 인식 시스템의 도면 인식 정확도가 95%를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설계자가 이 시스템을 활용해 도면 분석 작업을 할 경우,정확도가 월등히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인력 투입 최소화및 외주비 절감 등으로 해당 업무에서 50% 이상의 비용 절감 효과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P&ID자동 인식 시스템은 현대엔지니어링 내 스마트 건설 기술 통합개발을 담당하는 스마트기술센터에서 자체적으로 개발했다. 현대엔지니어링에 따르면,자체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만큼, 향후 타 사업 영역에서도 도면 및 이미지 인식 기술 활용을 검토하는 등 기술 확장 가능성도 크다.

한편, 현대엔지니어링은 AI 기반 설계 자동화 기술 연구개발에 적극 나서고 있다. 플랜트 부문에서는 국내 최초로 ‘AI 기반 플랜트 철골구조물 자동 설계 시스템’을개발하고 특허출원을 했다. 이는 설계자가 건물의 크기,하중,형태 등 기본적인 설계 조건을 입력하면 10분 이내로 철골구조물 설계가 가능한 시스템이다.

건축 부문에서도아파트 단지 공간의 설계 범위 등 기본적 설계 조건을 입력하면 AI가 단지 내 옥외 공간의 설계 초안을 제안하는 ‘AI 기반 공동주택 조경설계 자동화 기술’ 등을 개발하고 있다. 업계 최초로 조경 설계에 AI 기술을 접목한 사례다.

이외에도 ‘2D 도면 3D 모델링 자동 변환’, ‘배관/케이블 루트 자동 설계’, ‘전 공종 도면 자동화 설계 및 물량 산출’ 등 다양한 업무 영역에서 10여 개의 설계 자동화 기술을 연구개발 중이다.

현대엔지니어링 관계자는 "AI 설계 자동화 외에도 ‘스마트 시공 기술’, ‘OSC&모듈러 기술’, ‘데이터 플랫폼 구축’ 등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을 개발하고현장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개발에 전력을 다하고 있다"며 "자체 기술 개발부터 산학연 기관과의 업무협약,오픈이노베이션 등 다양한 방법을 활용해건설현장의 생산성과 효율성 향상시키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kjh@ekn.kr

김지형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