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양주시-LH ‘슈퍼성장 조성’ 맞손…원희룡 배석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3.05.31 22:19
원희룡 31일 남양주시-LH 지역특화발전 업무협약 체결 참석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왼쪽) 31일 남양주시-LH 지역특화발전 공동 업무협약 체결 참석. 사진제공=남양주시

[남양주=에너지경제신문 강근주 기자] 남양주시는 31일 시청 여유당에서 한국토지주택공사(이하 LH)와 신도시를 기반으로 한 지역특화발전을 위한 공동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날 협약식에는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이 참석해 양 기관 협력에 적극 지지를 보냈다.

이번 업무협약은 신도시 내 DNA(Data, Network, AI) 도시를 기반으로 도시첨단산업단지와 복합쇼핑몰 등을 조성해 수도권 동북부 전체 성장을 견인해 나가기 위해 마련됐다. 반도체-데이터센터(IDC), 첨단 앵커기업, 컨벤션센터, 복합문화시설 등 신(新)성장 동력을 유치해 수준 높은 교통-생활-문화-자족 인프라를 구축하는데도 초점이 맞춰졌다.

이에 따라 협약 내용은 △신도시 내 신(新)성장 동력 기반 조성 및 유치를 위한 공동 전략 및 정책 수립 △신도시 내 수준 높은 교통-생활-문화-자족 인프라 조성 △기타 신도시 지역특화발전을 위한 정책 수립 및 사업 공동 발굴 △상호협조 및 행정지원체계 구축 위해 공동협의회 구성 △지역특화발전 전략 공동 수립-협력 등을 담고 있다.

주광덕 남양주시장은 업무협약식에서 "지금까지 우리 시는 국가 주거공급정책을 위해 정말 희생했고 헌신했다"며 "이렇게 헌신하고 희생한 남양주시민을 위해서라도 계획인구 100만을 승인받은 남양주시에 제대로 된 자족기반시설이 들어올 수 있게 도와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왕숙신도시를 중심으로 120만 제곱미터로 도시첨단산업단지를 계획하고 있고, 그곳을 남양주 미래 발전을 견인할 경제-산업 중심 도시로 만들겠다"며 "앞으로 조성될 신도시가 지역주민이 박수 치고 남양주 희망이 될 수 있도록 국토교통부-LH가 배려해주고 도와줘야만 오늘 지역특화발전 공동 업무 협약이 의미가 있다"고 역설했다.

또한 "3기 신도시는 국가가 광역교통개선대책으로 수석대교를 신설해 선교통-후입주라는 국민과 약속과 정책 공약으로 이미 사전분양까지 이뤄진 상황"이라며 "하루라도 빨리 수석대교가 착공되도록 결단을 내려주기 바라며, 국가 정책에 적극 협조한 74만 남양주시민에 대해 국토교통부와 LH도 약속을 꼭 실현해 달라"고 요청했다.

남양주시-LH 31일 지역특화발전 공동 업무협약 체결

▲남양주시-LH 31일 지역특화발전 공동 업무협약 체결. 사진제공=남양주시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은 "그동안 신도시는 입주가 끝날 때까지도 교통이 해결되지 않아 주민이 불편을 겪는 경우가 많았다. 앞으로 신도시 개발에서 그런 사례가 반복되면 안 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주거안정을 위해 남양주시민께서 많이 협력해준 만큼 광역교통개선대책이 도시 완성 및 선교통-후입주 원칙을 실현하는 그런 모범사례로 만들겠다"고 공약했다.

또한 "남양주 왕숙신도시는 GTX-B, 지하철 8-9호선 등 많은 역세권이 형성될 텐데 역세권 중심으로 해서 가장 넓은 120만 제곱미터의 자족용지가 배치돼 있어 주거와 일자리, 도시 자족기능이 복합적으로 이뤄지는 모범적인 신도시가 될 것이다. 그런 면에서 앞으로 LH와 남양주시가 서로 긴밀하게 협력해 나가길 바란다"고 기대감을 드러냈다.

아울러 "전례가 없는 교통총괄기획과(TMP) 제도를 도입해 광역교통 및 남양주시 내 여러 가지 교통문제를 처음부터 끝까지 꼼꼼히 전담 기획하면서 총괄 조정 역할을 수행할 것"이라며 "우리 국토교통부는 제도 면에서나 사업 진행 면에서 차질이 없도록 해 남양주시가 명품 자족도시로 발돋움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천명했다.

이한준 LH 사장은 "신도시 사업과 관련해 선교통 문제, 자족기능 문제는 100만 도시를 위해 필수불가결한 사안이다. 단순히 집만 공급하지 않고 100만 도시로서 자족기능을 강화해 주민이 살기 좋은 도시로 만드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력한 의지를 밝혔다.

한편 남양주시와 LH는 이번 공동 업무협약을 통해 ‘슈퍼성장 기반조성 공동협의회’를 구성하고, 신도시 관련 정책과 현안사항에 대한 논의를 본격적으로 시작할 예정이다. 또한 공동협의회 내 실무협의회를 두고, 관계 기관과 부서의 실무진이 신도시 관련 주요 현안사항과 실행방안을 수시로 논의해나갈 계획이다.
kkjoo0912@ekn.kr

강근주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