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여건 개선 통해 최고 14~15층, 2900가구 개발
경전철 역사 연결되는 주거·상업복합타운 계획
![]() |
▲서울시는 신월7동 일대 재개발 후보지의 신속통합기획안을 확정했다. 서울 양천구 신월7동 재개발 후보지 신속통합기획안. 서울시 |
서울시는 신월7동 913 일대 재개발 후보지의 신속통합기획안을 확정했다고 1일 밝혔다.
대상지 일대는 1970년대 토지구획정리사업으로 형성된 이후 보차 구분 없는 협소한 도로, 불법주정차, 열악한 기반시설 문제 등으로 주거환경 개선이 필요했다.
주민들도 적극적인 개발 의지를 보였으나 인근의 김포공항 고도제한 등으로 인해 제약이 많아 2020년 공공재개발 대상지에서 탈락하는 등 부침을 겪었다.
시는 신속통합기획을 추진하며 원활한 개발을 위해 한국공항공사와 협의해 지역의 높이 제한을 해발고도 57.86m에서 66.49m로 완화했다.
해당 지역은 기존에는 11∼12층으로만 개발할 수 있었으나 이번 기획안에 따라 14∼15층으로 계획할 수 있게 됐다.
또 제2종(7층이하)일반주거지역에서 제2종일반주거지역으로 용도지역을 상향해 기부채납 없이 평균 층수 등을 완화할 수 있게 했다.
주동(건물)은 고도제한과 밀도 확보를 고려해 블록형으로 구상했으며 단지 내 활력을 불어넣고자 1∼2층 필로티 공간을 넣고 건물을 분절해 배치했다.
동시에 단지 내부보다 지역 내의 주요 생활 가로인 지양로변의 건물 높이를 낮게 계획해 개방감을 확보하고 점진적인 스카이라인을 형성하도록 했다.
특히 시는 지양산, 곰달래공원, 오솔길공원, 독서공원 등 주변에 산재한 녹지를 연결해 도심 속 정원 같은 주거단지를 조성하는 데 주안점을 뒀다.
여기에 더해 남부순환로66길·70길과 인접한 신월7-2구역 공공재개발계획을 고려해 동서축 진입도로 폭을 10m·2차로에서 15m·3차로로 확충하도록 구상했다.
지역 내 주요 생활 가로이자 많은 차량이 통행하는 지양로 역시 15m·2차로에서 20m·4차로로 넓힌다.
주민 편의시설로는 2028년 개통할 경전철 역사(오솔길실버공원역)와 입체적으로 연결되는 주거·상업복합타운을 남부순환로변에 계획했다.
지양로, 남부순환로70길 등 기존 도로를 따라 근린생활시설을 배치해 신설 역세권과 버스정류장 등 대중교통 동선과도 연계할 예정이다.
신월7동 913 일대 재개발 후보지는 신속통합기획안의 절차 간소화를 적용받아 연내 정비계획 입안 절차가 완료될 것으로 시는 예상했다. daniel1115@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