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63빌딩서 이영 중기부 장관 및 스타트업 대표들과 간담회
"韓 스타트업 역량 높이 평가...美초청·협업·투자 확대하고 싶어"
"AI 따른 일자리 감소, 새로운 일자리 창출로 해결 가능" 낙관
![]() |
▲샘 올트만 오픈AI 최고경영자가 9일 서울 여의도 63스퀘어에서 열린 이영 중소벤처기업부 장관과의 간담회에서 이영 장관과 대담하고 있다. 사진=김철훈 기자 |
올트만 CEO는 9일 중소벤처기업부가 서울 여의도 63스퀘어에서 개최한 ‘이영 중기부 장관과 샘 올트만 CEO와의 간담회’에서 이같이 밝히고, 향후 한국의 AI 스타트업을 미국으로 초청하는 등 협업을 확대하고 싶다는 희망을 내비쳤다.
현재 글로벌 AI 협력 강화를 위해 월드 투어 중인 올트만 CEO는 지난 3월 중기부의 초청을 받아 이번에 처음 한국을 방문했다. 이 간담회에서 올트만 CEO는 이영 장관 및 함께 참석한 100여명의 한국 스타트업 대표들과 챗GPT 및 AI 기술발전에 관한 질의응답(Q&A) 시간을 가졌다.
올트만 CEO는 "한국 스타트업의 우수성을 잘 알고 있다"며 "한국의 딥테크(선행기술) 기업에 관심이 많고, 특히 플랫폼 개발기업에 투자하고 싶다"고 말했다.
이어서 "AI의 등장으로 향후 수년간은 인터넷 등장 이후 가장 급격한 기술발전 환경이 조성될 것"이라며 "지금이야말로 가장 창업하기 좋은 시기"라고 강조했다.
올트만 CEO는 챗GPT 등 AI와 관련해 제기되는 우려인 ‘개인정보 유출’과 ‘일자리 감소(대체)’에 대해서도 충분히 극복 가능하다는 낙관적인 전망을 내놨다. 올트만 CEO는 "AI 등장으로 인공지능 연구개발자(AI Researcher)라는 새로운 직업이 등장했다. AI로 기존 일자리가 감소할 수 있지만 우리가 예상치 못한 새로운 창의적인 일자리도 생길 것"이라고 강조했다.
다만 "기술의 발전속도가 인간의 적응속도에 비해 점점 빨라지고 있다는 것이 가장 큰 어려움"이라며 "이미 기술은 개발돼 있지만 개인 인권보호 등 일정한 선을 그어야 할 필요도 있다. 이는 사회적 대화가 필요한 부분"이라고 말해 인공지능에 대한 일정 정도의 규제가 불가피함을 인정했다.
올트만 CEO는 같은 날 오후 같은 곳에서 소프트뱅크벤처스가 주최한 일반인 대상 공개 좌담회에도 참석해 1000여명의 국내외 스타트업 관계자·기업인·학생 등 일반인과 질의응답 시간도 가졌다.
이어 올트만 CEO는 윤석열 대통령과 면담할 예정이며, 한국 AI 스타트업과의 실질적인 협력 강화 방안에 대해 중기부와 논의할 예정이다.
이영 장관은 "오늘 간담회는 우리가 AI와 오픈AI에 대해 궁금해하는 것을 오픈AI 대표인 샘 올트만으로부터 직접 확인하고 협력을 모색한 뜻깊은 자리였다"며 "오늘 간담회를 시작으로 인공지능 관련 우리 스타트업이 세계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오픈AI와 지속적으로 교류하고 협력하겠다"고 말했다.
kch0054@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