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하은호 군포시장 20일 군포시의회 결의안 채택 반박 기자회견. 사진제공=군포시 |
이동한 의원 등 더불어민주당 소속 의원 6명은 20일 ‘금정역 통합역사 개발촉구 결의안’을 발의했다. 결의안 골자는 금정역 남부역사와 북부역사가 통합 추진돼야 하며 용역을 재개하고 군포시장은 사과하라 등이다.
결의안이 상정되자 신경원 의원은 "결의안은 중앙정부에 건의하는 내용으로 용역 재개와 시장 사과 요구는 바람직하지 않다"고 반대 의견을 표명했다. 이어 표결에서 국민의힘 소속 의원 3명이 퇴장하고 민주당 의원 6명이 찬성해 결의안은 결국 통과됐다.
하은호 군포시장은 즉각 기자회견을 열고 "전임 시장 때 추진되던 통합역사 및 환승센터 사업이 금정역 입체화사업 무산으로 사업계획 변경이 필요해져 작년 4월 시행된 시민토론회에서 금정역 주변 지역을 연계한 마스터플랜 수립이 필요하다는 주민 의견을 적극 수렴해 금정역 입체화사업과 연계해 통합역사만을 기본 구상하는 전 용역을 해지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내가 시장이 되고나서 작년 9월 금정역 환승체계 개선 및 종합개발계획 기본구상에 대한 용역을 시작했다. 그러다가 작년 12월 환경부의 산본천 복원사업에 군포시가 선정되면서 산본천 복원과 금정역 일원 환승체계 개선 기본구상이 연결되기 때문에 용역이 일시중지된 것이다. 이런 사정을 알면서 시장에게 사과하라는 일방적인 결의안을 내는 것은 다수당 횡포이고 흠집 내기 정치공작"이라고 반박했다.
또한 "남부역사와 북부역사 그리고 GTX환승센터가 각각 추진 중이라 통합 개발돼야 한다는 사실을 시장 취임 이후 수없이 지적해왔으며 대통령 공약인 당정역~서울역 지하화를 요구하는 가장 큰 이유가 금정역이기 때문이란 점을 강조해왔다"고 부연했다.
아울러 "올해 3월 국토부장관이 노후도시특별법 때문에 군포에 왔을 때도 우리 시 현안으로 금정역을 함께 돌아보며 추진 기관이 서로 달라 통합개발을 위해 정부가 나서줘야 한다고 건의했다"고 밝혔다.
특히 "원희룡 장관이 철도국장 등 실무자에게 지시해, 금정역 개발 관계자들과 군포시가 협의를 시작했고 4차례 회의 끝에 남-북부 역사 통합개발안이 반영되도록 요청한 상태다. 상황이 이런데 이제와 결의안을 내니 숟가락 얹기를 하는 것인지, 시장 흠집 내기인지 알 수 없다"고 비판했다.
하은호 시장은 "6월7일 이학영 의원이 국토부 제2차관을 만나 정부 협조를 요청했는데 같은 내용으로 결의안을 내고 말미에는 ‘작금의 상황을 시민에게 알리고 사과하라’는 요구는 내년 총선을 앞두고 매우 정치적이며 배경이 있다고 아니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이는 통합개발을 추진하기 위해 노력해온 공무원들을 폄훼하는 것으로 분노와 실망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며 "아니면 그만이란 민주당의 전형적인 내로남불 식 행태에 끝까지 법적인 책임을 묻겠다"고 강조했다.
![]() |
▲하은호 군포시장 20일 군포시의회 결의안 채택 반박 기자회견. 사진제공=군포시 |
1. GTX-C노선 금정역을 남부와 북부로 분리하려는 계획을 중단하라.
- 남부역사는 철도공사에 의해 노후역사 개선사업으로 리모델링에 대한 실시설계를 금년 1월 시작했고 북부역사는 확장을 준비 중이다. 여기에 더해 GTX-C노선 정차역사를 현대건설을 주사업자로 하는 컨소시엄에서 설계를 진행 중이다.
군포시는 민선8기 출범 직후 대통령 공약인 당정역~서울역 지하화 이행을 촉구하면서 금정역에서는 위 세 가지 사업이 추진 중인데 지하화가 개시되면 모든 사업을 재검토해야 하므로 재검토 및 통합개발을 요구해왔다.
2. 금정역 환승체계 개선 및 종합개발 계획 기본구상용역을 재개하라.
- 2022년 9월 발주된 위 용역은 2022년 12월 산본천 복원이 결정되고 이 복원사업 하단부에 금정역이 있으므로 시가 발주한 위 금정역 종합개발 용역을 일시 중지한 바 있다.
3. 금정역을 통합개발해 군포시 랜드마크로 조성하라.
- 군포시는 당정~서울역 지하화 이행을 촉구하면서 위 세 가지 사업이 추진 중인데 지하화가 개시되면 모든 사업을 재검토해야 하기 때문에 재검토 및 통합개발을 요구해왔다.
2023년 3월 국토부장관을 금정역으로 안내해 현장에서 하은호 시장은 장관에게 "통합개발 당위성과 현재 각 사업의 추진체가 달라 협의에 어려움이 있다"고 말했고 장관은 배석한 철도국장과 과장에게 관계자협의체 구성을 지시했다. 이후 4차에 걸쳐 철도청, 철도공사, 현대건설, 군포시가 협의를 진행해왔다. 시행 측은 남부와 북부역사, 그리고 GTX 각각 개발을 주장하고 있으나 군포시는 통합개발을 요청한 상태다. 군포시 주장의 가장 큰 근거는 6월 말로 예정된 지하화 사업의 추진 선언이다.
4. 작금 상황을 시민에 알리고 사과하라.
민선8기 취임 직후 국토부장관에게 전달한 군포시 현안사항과 OBS뉴스 생방송 인터뷰를 비롯해 다수 언론보도를 통하여 통합개발을 주장해 왔다. 특히 2022년 9월 지하화대책위원회가 활동을 시작하면서 지하화를 요구하는 과정에서는 금정역 통합개발 당위성을 빠짐없이 알리고 정부에 호소해왔다. 민선8기 공약으로 제시한 이후 이를 지속적으로 추진해왔다.
kkjoo0912@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