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의 책임교육과 학생 맞춤교육 실현이라는 두개 목표에 공감
임 교육감, 입장문 통해 "교육 현장 안착에 더 적극 노력 하겠다"
![]() |
▲임태희 경기도교육감 사진제공=경기도교육청 |
임 교육감은 이날 입장문을 통해 이같이 언급하면서 "다양성과 자율성에 기반한 국가와 교육청 그리고 학교의 책임교육과 학생 맞춤교육 실현이라는 목표에 공감한다"면서 "특히 다음과 같은 이유에서 교육 현장에 의미가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임 교육감은 우선 "모두의 수월성(秀越性)을 제고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이번 제고 방안은 학생 한 명 한 명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강점과 잠재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다양성을 부여하고 확장했다고 봤다.
임 교육감은 이어 "AI 에듀테크를 활용한 학생별 맞춤 지원, 학생의 소질과 적성에 따른 선택형 교육과정 및 고교유형 다양화 등은 학생 간 비교우위의 개념이 아닌, 개별 학생이 가지고 있는 소질과 잠재력을 각자의 속도에 따라 역량을 키워나갈 수 있는 교육 현장의 변화를 끌어낼 것"으로 설명했다.
임 교육감은 또 "이는 교육기회 균등의 측면과 함께 학생 한 명 한 명의 고유한 잠재력 발현의 측면에서 씨줄과 날줄로써 함께 어우러져서 모든 아이를 행복한 학습자로 성장시키는 원동력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임 교육감은 다음으로 "학생의 ‘균형’ 잡힌 성장의 토대가 될 것"으로 예상했다.
특히 "기초학력 보장과 함께 인성교육 강화, 체육·예술교육 활성화 등으로 학생에게 필요한 사회적 역량을 갖출 수 있다"면서 "학생의 균형 잡힌 성장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학생 개개인에 대한 정확한 진단이 필요하며 학력·정서·인성에 대한 종합적인 진단에 기반한 학생 맞춤형 교육으로 지식에만 편향되지 않은 통섭적 역량을 갖춘 미래 인재로 성장할 수 있다"고 말했다.
임 교육감은 마지막으로 "교육 ‘본질’에 집중할 수 있다는 점"을 부각했다.
그는 "에듀테크를 활용한 수업으로 디지털 시대의 깨어있는 교실로 거듭날 것"이라며 "디지털 시대에 맞는 역량을 강화하고, 가르치는 일에 매진할 수 있는 문화와 환경에서 교사가 교실 변화의 주인공이 된다"고 역설했다.
임 교육감은 무엇보다 "단순 지식전달자에서 학생의 역량관리자로의 교사 역할전환은 학생성장이라는 교육의 본질에 충실함으로써 공교육의 위상을 높일 것"이라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AI기반 맞춤형 교육, 학교 자율권 강화, 성장단계별 인성교육 및 디지털 시민교육, 교원의 역량 강화, 학생인권과 교권이 함께 존중받는 문화 조성, 학교행정업무 경감을 위한 학교업무개선담당관 신설 등 공교육 경쟁력 제고를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덧붙였다.
임태희 경기도교육감은 "전국 학생의 28.1% 달하는 164만 9549명 아이들에 대해 무거운 책임을 지고 있는 교육감으로서 정부의 공교육 경쟁력 제고 방안이 경기교육 현장에 안착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지원하겠다"고 재차 강조했다.
경기=에너지경제신문 송인호 기자 sih31@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