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35억 투입해 고작 4만명 지원 뿐...전면 개편 요구
도내 청년 150만명 중 2.7%만 수혜...예산, 50% 차지
![]() |
▲이호동 경기도의원 사진제공=경기도의회 |
이 의원은 경기도 청년 노동자 지원사업은 경기도 청년정책 일자리 사업예산 1492억 1500만원의 49.3%(734억 9900만원)를 차지하고 있는 대표적인 청년사업임에도 불구하고 2022년 기준 13.5% 미집행 잔액이 발생했는데 그 이유는 지원자격을 유지하지 못 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이 의원에 따르면 청년 노동자 지원사업은 2021년 선발 9006명 중 5600명이 최종 참여하고 있어 자격유지율이 62.2%에 불과하고 일하는 청년 복지포인트 사업의 경우 2021년 2만 1531명을 선정해 1만 6763명인 77.9%만이 자격을 유지하고 있으며 2018년 4532명이 신청한 청년 연금사업의 경우 자격유지자는 1876명인 41%에 불과하다.
이 의원은 또 "문제의 본질은 전체 청년정책 일자리 예산의 50%를 차지하지만 정작 수혜를 보는 청년은 150만 경기도 청년 중 2.7%인 4만명에 불과하다"며 "이는 대표적인 ‘청년 배반’사업이고 꼬집었다.
이 의원은 끝으로 "아주 제한된 소수에게 포인트, 지역화폐 등 명칭을 불문하고 현금성 지원을 하는 것이 문제이고 신청한 청년들이 자진해서 중도에 자격유지를 포기하는 것을 보면 도가 사업수혜자를 발굴하려 하더라도 발굴 자체에 구조적 한계가 있다"며 "경기도는 청년 근로자 지원사업에 대한 전면 재검토를 해서 예산구조를 새로 짜고 내실화 있는 청년들의 일자리 진작을 위한 실효성 있는 정책 수립을 함께 고민해 달라"고 주문했다.
경기=에너지경제신문 송인호 기자 sih31@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