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원 편의점 시판 10개 제품 조사 결과
1일 기준치 55~85% 차지…짠 반찬이 주범
당류는 8~17% 양호…"반찬 섭취 조절해야"
![]() |
▲한국소비자원이 조사한 국내 주요 5개 편의점의 도시락 제품. 자료=한국소비자원 |
한국소비자원은 국내 주요 5개 편의점의 도시락 제품을 조사한 결과, 영양성분 중 당류는 많지 않았지만 나트륨은 한 끼 섭취만으로 하루 기준치의 절반이 훨씬 넘는 최소 55%에서 최대 86% 높게 함유하고 있다고 28일 밝혔다.
소비자원의 조사 대상 도시락 제품은 △11가지 찬많은 도시락(GS25) △고.진.많 도시락 △7찬도시락(세븐일레븐) △돼지불고기편 △고기고기고기 도시락(이마트24) △푸짐한 제육·불고기 도시락 △뉴순창 고추장불고기 도시락(미니스톱) △뉴언양식 바싹불고기 도시락 △모두의급식:간장불고기(CU) △백종원 고기 2배정식 등 총 10개였다.
세부 결과에서 도시락 제품의 당류는 8.4~16.8g(1일 영양성분 기준치의 8~17%)으로 다른 영양성분에 비해 포함된 양이 많지 않았지만, 주로 반찬을 통한 나트륨의 섭취량은 1101~1721㎎(1일 영양성분 기준치 2000㎎의 55~86%)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품별로는 ‘11가지 찬많은 도시락’(GS25)’이 1721㎎으로 나트륨 함량이 가장 높았고, ‘고기고기고기 도시락’(이마트24) 제품이 1101mg으로 가장 낮았다.
10개 제품 모두 단백질의 양은 한 끼 식사로 충분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품의 고기·계란 등에 많이 들어 있는 단백질은 제품별로 20.0~38.8g이었는데, 이는 1일 영양성분 기준치의 36~71%에 해당한다. 다만, 시험대상 제품의 고기 양은 72~171g으로 최대 약 2.4배 차이가 났다.
제품별로 최대 반찬 수는 2.2배, 중량은 1.7배 차이를 보였다. 고추장 또는 간장 양념의 불고기와 김치류 볶음은 전 제품에서 반찬으로 제공하고 있었으며,야채계란말이(6개 제품 구성에 포함)는 그다음 순이었다. ‘11가지찬많은 도시락’(GS25)’은 반찬 수가 11개, 양은 308g으로 시험대상 제품 중 반찬의 종류와 양이 가장 많았다.
소비자원 측은 "나트륨 함량이 적은 제품을 선택하고 반찬 섭취량을 적절하게 조절할 필요가 있다"며 "특히 설문조사 결과, 편의점 도시락과 같이 컵라면을 먹는다고 답변한 소비자가 44%였는데 이 경우 나트륨 과다 섭취를 더욱 주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pr9028@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