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레이더(사진=AP/연합)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 정책이 미 연방대법원에서 불법으로 최종 판결될 경우 글로벌 증시 상승에 강력한 호재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비즈니스인사이더는 5일(현지시간) “트럼프 관세를 폐지시키는 판결은 증시에 로켓 연료가 될 것"이라고 보도했다.
이날 미 대법원은 트럼프 대통령이 국제비상경제권한법(IEEPA)을 근거로 세계 각국에 부과한 광범위한 관세의 적법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심리에 나섰다. 그러나 보수 성향의 대법관들마저 미국 정부의 관세 부과 권한에 회의적인 시각을 드러내자 트럼프 행정부가 이번 소송에서 패소할 수 있다는 관측이 부상하기 시작했다.
연방 대법원이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를 철회하는 결정을 내릴 수 있다는 기대감에 이날 뉴욕증시 3대 지수는 모두 상승 마감했다. 특히 관세에 민감한 미국 소매 브랜드들의 주가가 급등했다.
미국 백화점 체인인 메이시스와 콜스가 각각 8.9%, 7.0% 급등했다. 바비 인형 제조사 마텔은 4.0%, 의류 업체 룰루레몬은 4.3%, 생활용품 업체 윌리엄스 소노마는 2.6% 각각 올랐다.
경기소비재 업종이 이날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 내 업종별 상승률 2위에 올랐다.
관세 정책 후 비용 부담이 늘어난 미 자동차 제조사인 제너럴모터스(GM)와 포드는 이날 각각 2.84%, 2.50% 상승해 이런 기대를 반영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가 철회될 경우 미국 기업들의 수익성이 개선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대기업과 중소기업 모두 수입세 부담에서 벗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기업들의 리쇼어링 불확실성도 완화될 수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를 예외해주는 대가로 기업들의 리쇼어링을 요구했지만 애플과 같이 글로벌 공급망이 복잡한 기업들은 공장을 미국으로 옮기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했다. 비즈니스인사이더는 “트럼프 대통령의 리쇼어링 요구는 기업 비용 및 실적 전망에 큰 변동성을 가져올 것으로 예상됐었다"고 전했다.
아울러 대법원 판결로 상호관세가 철회될 경우 미국 인플레이션 압박도 완화시켜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기준금리를 동결할 명분도 약해질 가능성이 있다.
에피스트로피 캐피탈 리서치의 코리 존슨 수석 시장 전략가는 “지금도 생산활동을 할 수 있지만 추가 비용을 지불했다"며 “대법관들의 회의적인 시각은 추가 비용이 사라질 가능성을 시사했다"고 말했다.
부스타만테 캐피탈 매니지먼트의 다니엘 부스타만테 최고투자책임자(CIO)는 “트럼프 행정부에 불리한 판결을 내릴 경우 시장에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고 있다"며 “자금이 특정 섹터에 더욱 유입되는 흐름을 봤을 때 시장은 그 가능성을 이미 반영하기 시작했다"고 주장했다.
글렌미드의 마이클 레이놀즈 부사장은 “이르면 내년 초 최종 판결이 내려질 때쯤 관세로 거둬들인 수익이 1000억달러 이상일 수 있다"며 “징수된 관세가 환급된다면 기업들에게 또 하나의 경기 부양책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