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부 설문조사…75% "전문인력 채용·유지 힘들어"
해외경력직 인도·베트남·중국 선호 "수출에도 도움"
![]() |
▲중소벤처기업부 로고. 사진=중소벤처기업부 |
2일 중소벤처기업부에 따르면, 지난달 13~23일 중소기업 187개사와 취업준비생 773명을 대상으로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 중소기업의 75.4%가 SW전문인력 채용과 유지에 어려움을 느낀다고 답했다.
응답한 기업 가운데 74.3%는 ‘필요한 역량을 갖춘 지원자 부족’을 인력 채용·유지의 가장 어려운 점으로 꼽았다.
SW 인력난의 주요 원인으로는 ‘대기업과의 연봉 격차에 따른 기업군 간 경쟁 심화(68.4%)’, ‘중급 이상 개발자 인력 부족(64.2%)’을 많이 선택했다.
현재 외국인 직원을 채용한 중소기업은 27.3%였고, 향후 외국 국적의 SW 전문 인력을 채용할 의사가 있다고 응답한 업체는 54.5%였다.
국내 전문 인력보다 외국인 경력직 개발자을 채용할 시 장점으로는 ‘동일 수준 개발자를 저렴한 임금으로 채용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응답이 68.4%로 가장 많았다. 기업이 선호한 국가로는 인도(36.4%), 베트남(31%), 중국(11.8%) 등이었다.
아울러 응답한 기업 중 60.4%는 외국 SW 인력 채용이 해당국 수출에 긍정적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답했고, 관련 정부 프로그램이 신설되면 지원하겠다는 비율은 74.3%로 조사됐다. SW 취업준비생의 55% 역시 외국 SW 전문인력이 국내 중소기업 SW 인력난 해소에 도움을 줄 것으로 응답했다.
또, SW 취업준비생을 대상으로 진행한 조사에서 중복 합격 시 67.9%가 대기업 취업을 희망했으며, 중소·벤처·스타트업을 선택한 비율은 5.4%에 그쳤다. 그 이유로 ‘임금이 적을 것 같아서(61.1%)’, ‘직업 안정성이 낮을 것 같아서(60.5%)’ 등이 꼽혔다.
이은청 중기부 벤처정책관은 "중기부는 2027년까지 SW 분야를 중심으로 디지털 인재 10만 명을 양성해 중소기업에 공급할 예정"이라며 "국내외 유망 청년들과 기업의 채용 수요를 연결해 불균형 해소에 적극 나서겠다"고 말했다.
kch0054@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