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신문=정희순 기자] 콘텐츠업계 생성형 인공지능(AI) 사용을 두고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스토리 공모전을 개최하는 콘텐츠 기업들이 고심하고 있다. 공식적으로는 "공모전 출품 시 생성형 AI 사용은 결격사유"라는 입장이지만, 사실상 생성형 AI를 활용한 작품을 걸러낼 마땅한 방법이 없어 ‘지원자의 양심’에 맡길 수밖에 없는 처지다.
3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스마일게이트와 컴투스, 펄어비스 등 국내 게임사들이 잇달아 스토리 공모전을 개최한다. 공모전 총 상금 규모는 적게는 2500만원에서 많게는 7000만원 수준이다. 지식재산권(IP) 강화 및 확보가 주요 목적으로, 이들 기업 모두 수상작에 대해 2차 저작물 제작도 검토하겠다는 입장이다. 특히 3사 중 총 상금규모가 가장 큰 펄어비스(7000만원)의 경우 아예 카카오엔터테인먼트의 웹소설 플랫폼 ‘카카오페이지’와 손을 잡았다. 공모전 중편 부문은 ‘카카오페이지 스테이지’에 직접 연재하는 방식으로 접수해야 하고, 대상부터 동상 수상작까지는 카카오페이지에서 ‘기다리면 무료’ 비즈니스 모델(BM)이 적용된 작품으로 연재 기회가 부여된다.
3사가 공모전 개최 공지에서 명시하진 않았으나, 이들 기업은 모두 생성형 AI를 활용한 출품작은 걸러내겠다는 입장이다. 생성형 AI는 손쉽게 작품을 만들 수 있는 방법이지만, AI 활용작의 저작권 문제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이뤄지지 않은데다 이용자들의 반감도 존재하는 상황이다.
컴투스 관계자는 "컴투스 글로벌문학상은 어떤 형태로든 상업화된 적 없는 ‘창작 스토리’를 출품작 기준으로 삼고 있다"면서 "독창적인 작품을 발굴하기 위한 공모전인 만큼, 창작자의 참신한 아이디어가 돋보이는 순수 창작 작품을 선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펄어비스 관계자도 "공모전 출품작에 생성형 AI 사용은 결격 사유"라며 "추후 구체적으로 안내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앞서 네이버웹툰은 ‘지상최대공모전’의 본선 격인 2차 접수를 진행하면서 생성형 AI의 활용을 금지했다. 당초 1차 접수에서는 AI 활용에 대한 제한을 두지 않았다가 2차 접수부터 관련 규정을 마련한 것이다. 네이버웹툰은 1차 접수 당시 제출한 1화 분량에 AI를 활용했더라도 2차 접수에 이후 회차를 직접 그려서 낸다면 접수할 수 있도록 했다.
다만 업계가 출품작에 AI 활용을 공식적으로 금지한다 하더라도, 이를 제대로 잡아낼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AI를 실제 작품에 활용했는지를 가려낼 수 있는 기술이 아직은 마땅치 않아서다.
업계 관계자는 "여러 가지 방법을 고민해보고는 있지만 쉽지는 않을 것 같다"면서 "취지가 창작자를 위한 공모전인 만큼, 그 의미가 퇴색되지 않도록 응모자들이 자정 노력을 가져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도 "아직까지 생성형 AI 활용작을 어떻게 평가할지에 대한 사회적 합의도 마련되지 않은 상황"이라며 "일단 내부 방침은 AI 사용은 결격사유라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스마일게이트·컴투스·펄어비스 스토리 공모전> | |||||
공모분야 | 접수 기한 | 총상금 | 심사 기준 | 생성형 AI 활용 | |
2023 스마일게이트 퓨처랩 스토리 공모전 | 영화, 드라마, 웹소설 등. | 8월 13일 | 2500만원 | 2차 콘텐츠로의 발전가능성 심사. | 금지 |
컴투스 글로벌 콘텐츠 문학상 2023 | 원천스토리 | 9월 6일 | 4000만원 | 2차 콘텐츠 제작 가능성 검토. | 금지 |
검은사막X카카오페이지 웹소설 공모전 | 중편, 시놉시스 | 9월 24일 | 7000만원 | 2차 저작물 제작 가능성 검토. | 금지 |
hsjung@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