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 OLED 시장, 소니 강세…삼성·LG디스플레이 맹추격
MR 관련 시장 오는 2027년 100% 이상 성장 전망
애플, 차세대 MR 헤드셋 제조 원가 낮추기 위해 삼성·LG와 협력 중
![]() |
▲애플의 ‘비전 프로’ 사용 모습. |
6일 업계에 따르면 MR은 가상현실(VR)과 증강현실(AR)을 모두 구현해 고성능 마이크로 OLED 패널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DSCC는 마이크로 OLED 시장 규모가 지난 2022년에 비해 오는 2027년 100% 이상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소니는 TV나 스마트폰용 디스플레이는 유리 기판 위에 OLED 소자를 입히는 방법 대신 반도체 원판인 실리콘 웨이퍼 위에 OLED 소자를 증착해 마이크로 OLED 패널을 제작했다. 이름도 올레도스(OLED On Silicon)로 실리콘 위에 올라간 OLED라는 뜻이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최주선 사장의 진두지휘 아래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로 마이크로 디스플레이를 낙점하고 개발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삼성전자 디바이스솔루션부문(DS) 파운드리사업부와 마이크로 OLED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소니 올레도스와 같은 방식(W-OLED)의 올레도스 개발과 함께 컬러필터가 없는 새로운 방식(RGB OLED)의 올레도스를 개발 중이다.
이어 삼성디스플레이는 지난 5월에 OLED 소자를 실리콘 웨이퍼 위에 입히는 패터닝 원천 기술을 보유한 미국 업체인 이매진을 2억1800만달러(약 2900억원)에 인수했다. 모회사인 삼성전자도 구글·퀄컴 등과 함께 MR기기를 개발 중이다. 이 기기에 삼성디스플레이의 올레도스가 들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LG디스플레이는 이미 W-OLED의 시제품 제작에 성공했다. 실리콘 웨이퍼 기판 위에 흰빛을 내는 OLED 층을 올리고, 적(R)·녹(G)·청(B) 컬러필터를 씌워 화면을 구현한다. LG디스플레이는 이미 애플 비전 프로의 외부 OLED 디스플레이를 공급 중이다.
아울러 LG디스플레이는 설계에 강점이 있는 LX세미콘, 반도체 기업 SK하이닉스와 협업 중이다. 올초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세계 최대 IT·가전 전시회 CES 2023에서 마이크로 OLED 시제품을 공개하기도 했다.
한편, 강정태 삼성디스플레이 상생협력센터장 부사장은 지난달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12대 국가전략기술 전문가 연속 간담회’에서 "원가 중심 액정표시장치(LCD)에 비해서 OLED와 차세대 마이크로디스플레이는 기술 차별화가 훨씬 강조된다"며 "OLED가 LCD 전철을 밟지 않으려면 앞으로 2~3년이 중요하다"고 기술 유출 방지 대책 강화와 마이크로 OLED에 대한 지원을 촉구했다.
gore@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