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주식] 뉴욕증시 또 미끌, 이번 주 얼마나 내렸나…리비안·알리바바 등은 주가↑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3.07.08 07:35
USA-ELECTRIC STARTUPS/DEMAND

▲리비안 최고경영자 알 제이 스캐린지(35).로이터/연합뉴스

[에너지경제신문 안효건 기자] 7일(현지시간) 뉴욕증시 3대 지수가 모두 하락했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87.38p(0.55%) 하락한 3만 3734.88에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12.64p(0.29%) 내린 4398.95를, 나스닥지수는 전장보다 18.33p(0.13%) 밀린 1만 3660.72에 마쳤다.

주간 기준으로도 3대 지수는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S&P500지수는 한 주 만에 1.16%, 나스닥지수는 0.92%, 다우지수는 1.96%씩 하락했다.

종목 별로는 전기차회사인 리비안 주가가 10%대 급등했다. 웨드부시가 리비안 목표가를 25달러에서 30달러로 높이면서다.

메타 플랫폼스 주가는 트위터 대항마 ‘스레드’를 출시한 가운데 약간 하락했다.

알리바바 주가는 중국 당국이 앤트그룹에 71억 2000만위안 규모 벌금을 부과했다는 소식에도 8% 가까이 급등했다.

업종지수도 엇갈렸다.

에너지, 소재, 임의소비재, 금융, 산업 관련 지수는 상승했지만 필수소비재, 헬스, 부동산, 기술, 통신, 유틸리티 관련 지수는 하락했다.

시장에서는 6월 노동부 고용 보고서와 국채금리, 연방준비제도(연준·Fed) 추가 금리 인상 여부 등이 주목 받았다.

노동부가 발표한 6월 비농업 부문 고용은 20만 9000명 증가해 2020년 12월 이후 가장 적게 늘었다.

6월 수치는 월스트리트저널(WSJ) 집계 전문가 예상치인 24만명 증가도 밑돌았다. 전월 수정치인 30만 6000명보다는 10만명가량 적었다.

고용이 둔화됐음에도 6월 실업률은 전월 3.7% 보다 내린 3.6%로 나타났다.

시간당 평균 임금은 전월보다 0.36%, 전년 동기 대비로 4.35% 상승했다. 이는 시장 예상치인 0.3%와 4.2%를 소폭 웃돈다.

전일에는 ADP 6월 민간 고용이 49만 7000명으로 집계된 이후 6월 고용이 예상보다 증가했을 것이라는 기대가 있었다.

그러나 ADP 고용과 노동부 고용 지표에 차이가 컸다.

고용지표 발표 이후 미 국채수익률은 반락했다 다시 오르는 등 혼재된 양상을 보였다.

10년물 미 국채 수익률은 장중 4.09%까지, 30년물 수익률은 4.06%까지 높아졌다.

하지만 전일 5%대로 올랐던 2년물 미 국채수익률은 4.95%대에 머물렀다.

시장참가자들은 이날 미국 6월 비농업 고용지표가 둔화됐지만 미 연준 추가 금리인상 스탠스를 막을 정도는 아니라고 봤다.

시장 일각에서는 미 연준 금리인상이 지속되더라도 고용지표가 이 정도 수준으로 완화된다면 경제 연착륙이 가능할 수 있다는 기대도 일었다.

이에 주가지수가 전반적으로 약한 흐름을 보였지만 낙폭은 제한적이었다.

연준은 인플레이션을 억제할 정도의 고용 증가세를 10만명 정도로 보고 있다. 임금 상승률도 물가상승률 목표치 근처인 2~3% 수준으로 둔화하기를 바라고 있다.

한편, 임금 상승률이 여전히 높은 만큼 시장은 다음에 나올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로 시선을 돌렸다.

오스탄 굴스비 시카고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는 "(고용시장이) 더 지속 가능한 곳으로 가고 있다"며 "이는 우리에게 필요한 것이며, 더 균형 잡히고 지속 가능한 경로로 돌아가고 있다"고 평가했다.

뉴욕증시 전문가들은 이번 고용 보고서가 7월 금리 인상을 뒷받침할만한 수준이라고 봤다. 그러나 이후 연준 추가 금리 인상 여부는 앞으로 나오는 지표를 좀 더 봐야 한다고 말했다.

트루이스트 어드바이저리 서비스의 키스 러너 공동 투자책임자는 "오늘 보고서는 혼재된 그림"이라며 "경제가 무너지지 않고 계속 나아지고 있는 것은 좋은 소식이지만 임금 압박이 여전해 연준이 월말에 금리를 인상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오바마 행정부 시절 백악관 경제 자문을 지낸 벳시 스티븐슨 미시간대학 교수는 "연착륙을 한다면 바로 이런 모습일 것"이라며 "우리는 이 숫자를 나쁘게 생각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그는 "연준의 열차는 또 다른 금리 인상을 향해 달리겠지만, 나는 아직은 두 번째(금리 인상)에 돈을 걸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FF) 금리 선물 시장 마감 시점에 연준 7월 금리 0.25%p 인상 가능성은 92.4%로 반영됐다.

미 연준 금리는 12월에도 5.25~5.50%를 유지할 가능성이 51.2% 정도로 높게 반영됐다.

즉, 올해 5% 밑으로의 금리인하 기대는 사실상 희박한 셈이다.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VIX)는 전장보다 0.61p(3.95%) 내린 14.83에 거래됐다.


hg3to8@ekn.kr

안효건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