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용 한은 총재 "당분간 금리 인하 어렵다"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3.07.14 10:42

대한상의 제주포럼 연사로 나서

"물가, 가계부채 등 지켜봐야"

2023071401000802800039521

▲14일 제주 해비치호텔&리조트에서 대한상의 주최로 열린 제주포럼에서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강연하고 있다.(사진=대한상의)

[에너지경제신문 송두리 기자]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14일 "당분간 금리를 내린다고 얘기하기에는 상황이 어렵기 때문에 (금리) 내릴 것을 크게 기대하지 말라"고 했다.

그는 "연말까지 상황을 보고 금리를 조정하면서 거시적으로 보겠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이날 제주 해비치호텔&리조트에서 대한상의 주최로 열린 제주포럼에 연사로 나서 "냉탕·온탕 통화정책이 왔다 갔다 하면 거시정책의 틀이 흔들린다"며 이같이 밝혔다.

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전날 열린 통화정책방향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3.5%로 동결했다.

이 총재는 "많은 분이 금리를 이제부터 인하할 때가 아니냐는 생각을 많이 하는 것 같다"며 "그렇게 생각할 수 있지만 한은이 조심스러운 것은 기저효과 등을 생각할 때 연말까지 (물가가) 3%로 올라갈 것 같다는 것"이라고 했다. 이어 "내년에는 어떻게 될지 잘 모르겠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금리 인하가 어려운 이유로 물가와 가계부채를 들었다.

그는 "기술적으로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이 충분히 내려갈지 확신이 없기 때문에 지켜 봐야 한다"며 "미국이 금리를 2번 정도 더 올릴 수 있기 때문에 우리가 내리면 격차가 훨씬 커져서 외환시장이 어떻게 될까 하는 걱정도 있다"고 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26일(현지시간) 열리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예상대로 정책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하면 한미 간 금리차는 최대 2.0%포인트로 벌어진다.

이 총재는 "금리를 3.5%로 했더니 3개월 동안 가계부채가 늘어났다"며 "단기적으로는 어쩔 수 없지만 가계부채가 큰 것은 장기적으로 큰 부담이다. 가계부채가 국내총생산(GDP) 대비 떨어지면 좋겠는데 트렌드가 바뀌는 모습도 있어서 지켜봐야 한다"고 했다.

향후 경기 전망에 대해서는 "속도가 문제지만 반등하지 않을까 보고 있다"고 말했다.

한은은 지난 5월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1.6%에서 1.4%로 낮췄다.

이 총재는 "미중 경제가 우리 수출 양대 축인데, 미국 경제는 생각보다 성장률이 높아질 것 같아서 우리에게 좋은 뉴스"라며 "반면 중국은 불확실성이 크다. 하반기나 내년 성장이 조금 더 불확실할 수 있다"고 했다.

또 "반도체 가격이 더 내려갈 데가 없다고 생각하는데 이게 얼마나 빨리 올라갈 거냐에 따라 성장률이 올라갈 수 있는 상황이라 불확실성이 있지만 올해 성장률을 1.4% 정도로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새로운 변화 성장동력을 어떻게 잡느냐는 거시 통화정책으로 할 수 있는 것이 아니고 사실 구조조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구조조정을 위해서는 사회 여러 이해 당사자가 이제는 바뀌어야 될 때가 됐다"고 말했다.


dsk@ekn.kr
송두리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