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도 생성형AI ‘애플GPT’ 출시한다"…주가는 사상최고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3.07.20 10:24
Spain Apple Amazon

▲(사진=AP/연합)

[에너지경제신문 박성준 기자] 애플이 생성형 인공지능(AI) 챗봇을 자체적으로 구축하고 있다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그 영향으로 애플 주가는 장중 사상 최고가를 찍었다.

19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애플은 ‘Ajax’라 부르는 거대 언어모델(LLM)를 기반으로 한 ‘애플 GPT’ 챗봇을 구축했다고 소식통은 전했다. LLM 프로그램을 자체적으로 개발해 오픈AI의 챗GPT와 구글의 바드 등과 비슷한 서비스를 출시하겠다는 것이다.

소식통은 지난 몇 개월동안 애플의 여러 팀이 협력해 AI 개발에 몰두해왔다며 개인정보 등의 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도 여기에 포함됐다고 설명했다. 다만 아직 초기단계인 만큼 애플은 소비자 전략을 아직 마련하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소식통은 그러면서 애플이 내년에 중요한 AI 발표를 목표로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동안 AI 시장에서 애플의 존재감은 미미했다. 애플의 음성 AI 비서인 시리(Siri)는 수년간 정체기를 보여왔다는 지적이 나온다.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 또한 AI 기술과 관련해 신중한 태도를 보여왔다. 쿡 CEO는 지난 5월 실적발표 콘퍼런스 콜 당시 "AI의 잠재력은 매우 흥미롭다"면서 "이 기술에 어떻게 접근할지에 대해서는 신중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매우 신중하게 우리 제품에 AI를 계속 접목해 나갈 것"이라며 AI 기술 사용에 대한 신중함을 나타내기도 했다.

이런 상황에서 애플이 생성형 AI 개발에 본격 뛰어든 배경엔 제품들이 작동하는 데 있어서 중대한 변화를 놓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감이 고조된 영향이라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블룸버그는 "생성형 AI는 사용자들이 스마트폰, 컴퓨터 등과 상호작용하는 방식을 변화시킬 것"이라며 "애플이 AI 기술 고도화에 나서지 않을 경우 제품들이 큰 타격을 입을 수 있다"고 밝혔다.

CNBC도 애플의 이런 움직임과 관련해 "최근 AI 기술발전을 심각하게 받아들여 향후 출시할 제품에 관련 기술을 적용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는 신호"라고 전했다.

애플의 가세로 생성 AI 경쟁은 한층 치열해질 전망이다. CNBC는 다만 애플의 합류가 늦은 감이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 마이크로소프스(MS)는 챗GPT를 자사 상품에 탑재했고 구글 또한 바드를 검색엔진과 통합시켰다.

메타도 자체 최신 언어 모델(LLM) ‘라마 2’를 오픈 소스로 선보이고 있고,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도 최근 새로운 AI 기업 ‘xAI’를 설립했다. 아마존은 아마존웹서비스(AWS)에서 LLM 관련 기술을 선보일 예정이다.

그럼에도 애플이 생성형 AI를 자체적으로 개발하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이날 뉴욕증시에서 애플 주가는 장중 2.3% 올라 사상 최고치인 198.22달러를 기록했다. 그러나 오후 들어 상승폭을 줄여 전 거래일 보다 0.71% 상승한 195.10달러에 장을 마감했다.

박성준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