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착륙이냐 2%대 물가냐"…연준 추가 금리인상, 관건은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3.07.24 09:26
USA-FED/JOBS

▲제롬 파월 연준의장(사진=로이터/연합)

[에너지경제신문 박성준 기자] 미국 경제의 연착륙 기대감이 커지는 가운데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앞으로도 인플레이션 목표치를 2% 수준에 고수해야 하는지에 대한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연준이 인플레이션을 어느 정도 수준에서 얼마나 오래 용인할 수 있는지에 따라 향후 긴축정책은 물론 경제 전망도 달라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면서다.

24일 연준에 따르면 7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는 25∼26일 예정됐다. 연준은 40년 만에 최악의 인플레이션을 2%대로 내리기 위해 지난해 3월부터 총 10차례에 걸쳐 기준금리를 제로 수준에서 5%대로 끌어올렸다.

그 결과 작년 9.1%까지 치솟았던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은 지난 6월 3.0%로 큰 폭으로 둔화됐다. 이에 연준이 이번 FOMC에서 금리를 마지막으로 인상할 것이란 관측이 기정사실화되는 분위기다. 벤 버냉키 전 연준 의장은 최근 웨비나를 통해 7월 금리인상이 마지막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한 바 있다. 시장 예상대로 연준이 이달에 금리를 0.25%포인트 올릴 경우 미국 기준금리는 5.25∼5.50%로 2001년 이후 최고 수준을 보이게 될 전망이다.

이런 상황에 블룸버그통신은 7월 FOMC 이후가 정책입안자들은 물론 금융시장에서의 최대 관심사라고 짚으면서 "이는 연준이 인플레이션을 어느 수준에서, 그리고 얼마동안 용인할 수 있는지에 따라 달렸다"고 보도했다.

현재 미국에선 노동시장이 견고한 동시에 인플레이션이 확실히 꺾이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에 연준이 침체를 유발하지 않으면서도 물가를 성공적으로 안정시킨 것 아니냐는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이는 그러나 역설적으로 인플레이션이 연준 목표치인 2%대로 떨어지지 못하게 만드는 요인으로도 동시에 작용하고 있다.

JP모건체이스의 브루스 카스만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가격 상승 압박이 제거되어야 하는데 경제 침체 없이는 수요가 위축되기 어려울 것"이라며 "인플레이션이 지속적으로 3%대를 밑돌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결과적으로 연준은 이번 주(7월 FOMC) 이후 금리를 어쩔 수 없이 올려야 한다"며 "미국이 침체로 빠지지 않을 경우 더욱 그렇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향후 몇 개월 동안엔 미국 CPI가 둔화추이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하면서도 탄탄한 노동시장, 기업들의 가격 인상 등 때문에 일시적일 것으로 내다봤다.

시티펠 파이낸셜의 린지 피에그자 수석 이코노미스트 역시 "연준이 (금리인상을) 중단할 정도로 일을 충분히 했다는 증거가 없다"고 꼬집으면서 향후 미국 기준금리가 6%대로 오를 것으로 전망했다.

로렌스 서머스 전 미 재무장관은 인플레이션 목표치를 3% 이상으로 잡을 경우 다음 경기 사이클에서 가격 상승압박이 더욱 강력할 수 있다고 경고하기도 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 또한 인플레이션을 2%대로 내리기 위해선 노동시장이 둔화될 필요성을 인정했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일각에선 연준이 인플레 목표치를 3%대로 유지시켜야 한다는 관측도 제기됐다.

모하메드 엘 에리안 알리안츠 경제 참모는 미국 경제를 위협하면서까지 인플레이션을 2%로 내리는 것보다 목표치를 3%로 상향 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물가와 고용이 연준의 책무인 만큼 경제를 유지시키기 위해선 3%대 인플레이션을 용인해야 한다는 해석이다.

그는 또한 변화된 글로벌 공급망, 넷제로(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비용 등을 감안해 연준이 목표치를 상향할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싱크탱크 피터슨국제경제연구소(PIIE)의 애덤 포즌 소장도 "인플레이션을 9%에서 3%로 낮췄다면, 목표치를 2% 대신 3%로 올린다고 해서 연준이 신뢰를 잃지는 않을 것"이라며 목표치 상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박성준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