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금리에 5만원권 환수율 역대 최고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3.08.06 10:41

상반기 5만원권 발행액 약 10조원…환수액 7조8000억원



소비심리 회복·한은 기준금리 상승 영향

clip20230806102937

▲6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양경숙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한국은행으로부터 받은 화폐 수급 동향 자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5만원권 발행액은 약 10조원, 환수액은 7조8000억원을 기록했다. 연합뉴스.


[에너지경제신문=박경현 기자] 올해 상반기 5만원권 지폐의 환수율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2021년 이후 기준금리와 시중금리가 높아지자 예·적금 등의 형태로 굴리는 것이 유리하다고 판단한 것으로 풀이된다.

6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양경숙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한국은행으로부터 받은 화폐 수급 동향 자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5만원권 발행액은 약 10조원, 환수액은 7조8000억원을 기록했다.

발행액 대비 환수액의 비율인 환수율은 77.8%다. 이는 2009년 6월 5만원권 발행 시작 이후 상반기 기준 가장 높은 환수율이다.

통상 한국은행이 화폐를 발행하면 화폐는 시중에서 유통되다가 예금이나 세금납부 형태로 금융기관으로 입금된다. 금융기관은 일부를 시재금으로 보유하고 나머지는 한국은행에 입금하는데, 이때 돌아온 금액이 환수액이다. 화폐 환수율이 높다는 것은 화폐가 시중에서 활발하게 유통되고 있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5만원권 환수율은 지난 2009년 최초 발생 이후 꾸준히 상승해 2017~2019년 중 50~60%대에 이르렀다가, 코로나19가 확산한 2020~2021년 10~20%수준으로 낮아졌다.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로 인해 대면 거래가 줄어든 데다 경제 불확실성이 커지며 고액권을 미리 확보해두려는 수요가 늘어서다.

그러나 지난해 방역 규제 완화로 소비심리가 회복되며 대면 경제활동이 늘어난 데다 한국은행이 지난 2021년 8월부터 1년 반에 걸쳐 기준금리를 3.00%P 올리며 환수율이 높아졌다.

한은에 따르면 예금은행의 저축성 수신(예금) 평균금리(가중평균·신규취급액 기준)는 한은의 기준금리 인상이 시작된 지난 2021년 8월 연 1.03%에서 지난해 11월 연 4.29%까지 상승했다. 은행 수신금리는 이후 하락해 지난 4월 3.43%까지 내렸지만 5월 반등했고 6월에는 3.69%로 집계됐다.

예금은행 수신잔액 또한 2021년 8월 말 2253조7000억원에서 지난해 11월 2480조6000억원으로 늘었다. 지난 5월에는 2427조8000억원으로 집계됐다.


pearl@ekn.kr
박경현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