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심리 위축에 고환율 영향 스타벅스 실적악
하반기엔 점포 리뉴얼 효과로 실적 개선 기대
![]() |
이마트는 연결 기준 올해 2분기 영업손실이 530억원으로, 지난해 동기(123억원)와 비교해 적자 폭이 확대됐다고 14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은 7조2711억원으로 1.7% 증가했으나, 순손실은 1032억원으로 지난해(631억원)보다 적자 폭이 커졌다.
회사 측은 "고금리?고물가로 인한 소비심리 위축으로 내수시장 전반이 침체된 가운데 SCK컴퍼니의 환율상승에 따른 원가부담 및 신세계 건설의 원가 상승으로 인한 매출 이익률 하락이 영업손실에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2분기 이마트 별도 기준 매출은 3조9390억원으로 0.5% 줄었고, 영업손실은 191억원에서 258억원으로 확대됐다. 이는 대규모 점포 리뉴얼 투자, 가양점(지난해 9월)과 성수점(올해 4월)의 영업종료, 전기료 상승 등에 따른 에너지 비용 증가 등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쳤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사업부별로 보면 할인점은 영업적자가 지난해 369억원에서 올해 499억원으로 확대됐고, 트레이더스는 영업이익이 140억원에서 135억원으로 소폭 줄었다.
반면에 노브랜드 등 전문점은 수익성 위주의 사업 구조 개편이 효과를 보면서 영업이익이 38억원에서 108억원으로 크게 증가했다.
연결 자회사들의 실적은 엇갈렸다. 스타벅스를 운영하는 SCK컴퍼니는 환율 상승에 따른 원가 부담으로 영업이익(364억원)이 23.4% 줄었고, 스타필드의 신세계 프라퍼티는 지난해 88억원에서 올해 -53억원으로 적자 전환했다.
다만 이커머스 계열은 적자 폭을 줄이며 상대적으로 선방했다. SSG닷컴은 영업적자가 405억원에서 183억원으로, G마켓은 182억원에서 113억원으로 각각 줄었다. 물류비를 효율화하고 수익성 중심으로 상품을 구성한 게 주요인이라고 이마트는 설명했다.
이밖에 조선호텔앤리조트는 엔데믹(endemic·풍토병화된 감염병)을 맞아 투숙률이 크게 개선되면서 영업이익이 85억원으로 지난해(14억원)보다 507% 급증했다. 신세계건설은 부동산 경기 침체 속에 원가 상승에 따른 매출이익률 하락으로 309억원의 영업적자를 기록했다.
이마트는 미래형 점포로의 전환을 위한 리뉴얼 투자 효과가 가시화하며 하반기로 갈수록 실적 개선 흐름이 뚜렷해질 것으로 전망했다. 최근 ‘더 타운몰’ 형태로 리뉴얼된 킨텍스점 등은 매출이 리뉴얼 이전 대비 최대 30% 가까이 증가하는 등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또한 G마켓은 올해 4분기 손익분기점(BEP) 달성을 목표로 비효율 판매 채널 및 일회성 프로모션 축소, 물류 운영 효율화에 집중할 예정이다. SSG닷컴도 식품 경쟁력을 강화해 수익성을 끌어올릴 계획이다.
이마트 관계자는 "하반기 첫 달인 7월뿐만 아니라 8월 영업도 호조를 보이고 있다"며 하반기에는 핵심경쟁력 강화를 바탕으로 한 매출 턴어라운드와 지속적인 효율화 작업을 통한 수익성 개선을 통해 뚜렷한 실적 개선이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pr9028@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