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18일 장주기 배터리 ESS 입찰공고…저탄소전원 중앙계약시장
4시간 이상 운전가능 설비로 15년 간 낙찰가격 보상…연말 사업자 선정
입찰물량은 65MW 저장용량기준 260MWh…"10월 종합발전전략 발표"
화재사고 등으로 침체된 ESS산업 활성화 기대…재생에너지 설비 활용도 극대화할 듯
![]() |
▲에너지저장장치(ESS) 내부의 모습. |
[에너지경제신문 이원희 기자] 햇볕 또는 바람이 많아 발전량이 많은 시간대에 쓰고 남은 태양광·풍력 등 재생에너지 전력을 에너지저장장치(ESS)에 담아놓았다가 전력 소비량이 많은 시간대에 저장 전력을 꺼내 판매할 수 있는 전용 거래시장이 제주도에서 열린다.
ESS 전력의 경우 현재 일반 신재생에너지 거래시장에서 신재생에너지와 동일 가격에 팔도록 돼 있으나 전용 거래시장이 개설되면 신재생에너지보다 더 높은 가격에 판매할 수 있게 된다. 신재생에너지를 단순 생산하는 것에 더해 저장이라는 과정을 거쳐 판매하는 만큼 별도의 전용 거래 시장을 만들어 그 실비를 인정하겠다는 것이다.
앞으로 ESS 전력의 판매 단가가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면서 ESS 사업 투자가 활발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ESS 산업은 그간 막대한 규모의 투자에 대한 보상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데다 잇단 화재사고 등으로 침체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정부는 현재 전력시장에서는 ESS에 충분한 보상을 하지 못한다고 판단해 ESS 전용의 새로운 시장을 만들어 ESS 보급을 확대하겠다는 계획이다.
ESS산업이 커지게 되면 점차 확대되고 있는 재생에너지 발전 설비의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재생에너지의 가장 큰 단점인 간헐성 등을 보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재생에너지는 수요에 비해 많이 생산될 경우 발전설비의 가동을 멈추거나 과잉 생산 전력을 버려야 할 수 밖에 없다.
발전량이 날씨에 따라 들쭉날쭉한 재생에너지가 늘어날수록 전력을 저장했다가 필요할 때 꺼내 쓰는 ESS의 중요성은 날로 강조되고 있다.
다만 ESS시장이 확대되기 위해선 ESS가 화재 등으로부터 안전성을 인정받을 수 있는 기술 발전을 어떻게, 얼마나 빨리 이뤄 내느냐가 과제로 지적됐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8일 ESS 전력판매시장인 제주 장주기 B(배터리)ESS 입찰공고를 낸다고 17일 밝혔다.
ESS 사업자들은 이번 경쟁입찰 시장에서 4시간 이상 운전가능한 ESS 설비를 건설, 운영하고 15년간 낙찰가격으로 보상을 받는다.
이번 입찰물량은 ESS 용량은 65메가와트(MW) 저장용량으로는 260메가와트시(MWh)로 설정됐다. 260MWh는 65MW ESS에서 4시간 동안 충전과 방전을 할 때 나오는 전력량이다.
산업부는 최종 낙찰자를 사업자별 입찰가격과 기술능력, 화재 및 설비안정성, 산업·경제 기여도 등 비가격 지표를 종합 평가해 연말까지 선정할 계획이다.
산업부는 ESS 전용 신시장 개설뿐만 아니라 ESS 종합 발전 전략도 오는 10월 내놓겠다고 밝혔다.
산업부 관계자는 제주 BESS 입찰공고를 낸 배경에 대해 "그동안 계통 안정화에 기여하고 재생에너지의 변동성에 대응하기 위한 유연성 자원으로서 ESS 도입 필요성이 논의돼왔다.
하지만 전력도매가격(SMP) 단일가격으로 보상하는 현 전력시장 체제에서는 고비용인 ESS의 실질적 보급이 어려웠다"며 "이에 전력계통 포화 및 재생에너지 출력제어 문제가 가장 시급하다고 판단되는 제주도에 우선적으로 장주기 ESS 중앙계약시장을 도입하게 됐다"고 밝혔다.
태양광 발전량이 많은 이른 오후 시간대에 ESS에 전력을 저장하고 발전량이 줄기 시작하는 늦은 오후 시간대에 ESS에 저장한 전력을 풀겠다는 방식이다.
전력을 발전소에서 소비자에게 전달해주는 전력망은 전력량이 일정하게 흐르지 않으면 설비고장 등을 일으켜 블랙아웃(대정전)으로 이어지는 것으로 알려졌다.
제주도는 재생에너지의 섬이라 불릴 만큼 재생에너지가 많이 보급돼 있다.
제주도의 재생에너지 발전량은 전체 도내 생산 발전량의 20% 가까이 차지할 정도다.
이호현 산업부 전력정책관은 이날 울산과학기술원(UNIST)에 설치된 ESS 설비 현장을 방문해 가진 지역 에너지 기업들과의 간담회에서 10월 ESS 종합 발전 전략 발표 계획을 공개했다.
이 정책관은 "수요지 인근에서 생산된 에너지를 안정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에너지를 저장 및 공급하는 ESS가 필수적"이라며 "울산에서 구축된 ESS 모델이 다른 지역으로도 확산될 수 있도록 에너지 저장 산업 발전 전략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wonhee4544@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