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명역세권 부지매각 철회 요청"…공공시설 부족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3.08.21 23:07
광명시청 전경

▲광명시청 전경. 사진제공=광명시

[광명=에너지경제신문 강근주 기자] 광명시가 한국토지주택공사(LH)에 광명역세권 일직동 부지 매각공고 철회와 부지활용 방향에 대해 광명시와 사전 협의를 요청하는 공문을 발송했다고 21일 밝혔다.

LH는 17일 ‘광명역세권지구(일반상업용지) 공급공고’를 내고 현재 LH광명시흥사업본부가 사옥으로 활용하는 일직동 부지 3필지 매각을 추진하고 있다. 광명역세권 택지개발지구는 개발과정에서 아파트와 상업-유통시설 공급이 당초 계획보다 늘어나면서 상대적으로 공원 등 공공시설이 부족한 실정이다.

대형 쇼핑몰과 중앙대학교병원이 인접한 LH 부지가 민간에 매각돼 사업성 높은 주거용 오피스텔 위주로 개발되면 인구과밀로 시민 불편이 늘고, 시민에게 공공 서비스 제공 기회가 줄어들 우려가 크다고 광명시는 설명했다.

광명역세권 택지개발지구 최초 고시(건교부 제2004-352호, 2004.11.26.) 당시 6866세대였던 주거 세대수가 현재 9744세대로 42%나 증가한 반면 도로-주차장-공원-녹지 등 공공시설용지는 141만9197㎡에서 126만5562㎡로 감소했다. 특히 공원은 당초 30만5578㎡에서 20만2681㎡로 10만㎡ 이상 줄었다.

이에 따라 광명시는 2023년 광명역세권 활성화 용역을 통해 △주거와 창업, 취업을 통합 지원하는 허브 구축 방안 △광역교통 거점 역할을 위한 대중교통 중심 개발방안 △첨단산업 및 문화기능 유치 방안 △보행자 중심 도시 공간 조성과 양질의 공공 공간 확보방안 △구도심 연계사업 발굴 등 광명역세권 활성화의 종합적인 밑그림을 그리고 있다.

광명시는 광명역세권 활성화 용역을 내년 1월까지 추진하며, 생활 SOC와 양질의 공공공간을 확보하는 지구단위계획 변경 절차를 준비하고 있어, LH가 소유한 일직동 부지 민간매각을 반대하는 입장이다.

박승원 광명시장은 "광명역세권이 지속가능한 발전을 도모하려면 시민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공공시설 등 확대가 반드시 필요하다"며 "시민을 위한 광명역세권 개발을 위해 LH가 전향적 판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kkjoo0912@ekn.kr

강근주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