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인천지역 탄소중립·녹색성장 지원…민관 협력체계 구축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3.08.28 11:33
인천시청에 설치된 기후위기시계

▲인천시청에 설치된 기후위기시계. 연합뉴스

[에너지경제신문 김종환 기자] 환경부가 인천시, 인천 소재 기업들과 민관 협력체계를 구축하며 탄소중립·녹색성장 지원을 위해 나섰다.

환경부는 28일 인천 연수구 송도컨벤시아에서 인천시 및 인천 소재 7개 기업과 ‘인천시의 탄소중립·녹색성장 협력체계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다고 밝혔다.

이날 협약에는 셀트리온, SK인천석유화학, HD현대인프라코어, 포레스코, 인천종합에너지, 한국남동발전, 한국남부발전 등 인천 소재 기업 7곳이 참여했다.

이번 협약은 중앙-지방-기업 간 협력체계 구축을 통해 인천시의 탄소중립 사회로의 이행을 지원하고 지방자치단체 탄소중립 선도사례를 확산하고자 유엔 기후변화협약 적응주간의 부대행사로 추진됐다.

인천시는 오는 2045년 탄소중립 비전’을 발표하고 공공청사 최초로 기후위기시계를 설치하는 등 탄소중립 실현에 앞장서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 전환과 산업부문의 온실가스 배출이 전체 배출량의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지자체의 노력만으로는 효과적인 온실가스 감축이 어려운 상황이다.

기후위기시계는 전 세계 이산화탄소 배출에 따른 지구 평균온도가 산업화(1850∼1900년) 이전보다 1.5도 상승하기까지 남은 시간을 보여주는 시계다.

이번 협약을 계기로 중앙-지방 정부는 탄소중립 관련 정책 정보 및 특전(인센티브) 제공을 통해 기업의 감축 활동을 지원하고 기업은 산업·전환 부문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목표를 수립·이행하는 등 인천시의 탄소중립 추진을 위한 견고한 협력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임상준 환경부 차관은 "원활한 지자체 탄소중립 이행을 위해서는 긴밀한 민관 협력이 필수적"이라며 "이번 협약 체결을 통해 여러 지자체에서 눈여겨 볼 수 있는 성공적인 지자체 탄소중립 추진 사례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axkjh@ekn.kr

김종환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