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집트 엘다바 사업, 루마니아 삼중수소제거설비 사업 기자재 발주 임박
산업부, 공급사 등록·인증취득·대금우대 등 지원 등 기업부담 줄여줄 계획
![]() |
▲이집트 엘다바 프로젝트 개요. 산업통상자원부 제공 |
[에너지경제신문 전지성 기자] 원자력발전 기자재 업계에 8000억원 규모의 수출 일감이 공급된다. 지난해 한국이 수주한 이집트 엘다바 사업과 루마니아 삼중수소제거설비 사업의 기자재 발주가 오는 10월부터 나올 예정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9일 한전아트센터에서 국내 원전 기자재·부품 기업 200여개사를 대상으로 ‘원전 수출 일감 통합 설명회’를 개최, 총 104개 품목·8000억원 규모의 해외사업 기자재 발주 계획을 발표했다.
이집트 엘다바 사업(81개 품목)과 루마니아 삼중수소제거설비 사업(23개 품목)은 각각 6900억원, 1100억원 규모다.
산업부와 한수원은 이들 사업의 기자재 발주를 오는 2024년 6월까지 지속 공급하고 발주 후 6개월 내 계약체결까지 완료할 계획이다.
한수원과 두산에너빌리티가 발주한 이집트 엘다바 사업은 오는 10월 발주를 시작해 2024년 6월 계약을 종료할 계획이다.
한수원이 발주한 루마니아 삼중수소제거설비 사업은 오는 11월 발주를 시작해 2024년 12월 계약을 종료한다.
정부는 발주 속도를 높이는 동시에 원전 설비 수출에 나서는 기업들의 부담도 줄인다는 계획이다.
한수원 협력업체 215개사에 대해서는 해외사업 유자격 심사를 면제해 사실상 한수원 ‘해외사업 유자격 공급사 자격’을 부여한다.
당초 한수원 해외사업 참여를 위해서는 경영, 품질, 기술 등 3개 분야의 심사를 통과해 해외사업 유자격 공급사로 등록돼야 입찰에 참여할 수 있었던 부담을 완화한 것이다. 기술·품질 기준에서도 국내 원전 기업의 참여를 확대하기 위해 발주국 또는 발주사의 요구사항보다 완화된 기준을 인정해 기술·품질기준 취득을 지원한다.
1개 회사당 최대 1억 5000만원의 인증 취득 비용을 지원하고, 선급금 15% 지급과 계약금의 최대 80% 융자지원 등을 통해 원자재 구매 등에 따르는 비용 부담도 덜어준다.
앞서 정부는 2030년까지 원전 10기 수출, 2027년까지 5조원 규모의 원전 설비 프로젝트 수주와 함께 독자 수출을 하는 원전 설비 중소기업 100개사를 육성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강경성 2차관은 "2023년이 원전 생태계 정상화의 원년이 되도록 총력을 다해 지원하겠다"며 "2027년까지 5조원 규모의 해외 원전설비 프로젝트 수주, 2030년까지 10기 원전 수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민관이 함께 노력하자"고 말했다.
jjs@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