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식 의원 "민주당원, 후쿠시마 방류 피해 보도에 어민 둔갑, 가짜뉴스 심각"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3.08.31 09:27

이관섭 수석 "혹세무민, 어민·수산업계 피해...근절해야"
"우리나라 해역 방사능 수치 기준치 이하, 국민 안심 위해 과학적 근거로 설득해 나갈 것"

clip20230831085821

▲김영식 국민의힘 의원이 30일 오후 10시30분 국회 운영위원회에서 이관섭 국정기획수석에게 질의하고 있다.

[에너지경제신문 전지성 기자] 김영식 국민의힘 의원이 30일 국회 운영위원회에서 후쿠시마 오염 처리수 방류와 관련, 야당과 일부 언론사들의 가짜뉴스 행태가 심각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이관섭 국정기획수석은 "가짜뉴스는 혹세무민을 넘어 수산업자와 소상공인들의 생계를 위협하는 만큼 사회적으로 분명히 근절해야 한다"고 답했다.

김 의원은 30일 자정까지 이어진 국회 운영위원회에서 이관섭 수석에게 "일본의 후쿠시마 오염 처리수 방류에 따른 국민들의 우려와 걱정을 하시는 점을 잘 알고 있다. 특히 사회의 암적 존재인 가짜뉴스 선동으로 혼란이 더 커지고 있다"며 "목표MBC는 지난 24일 뉴스에서 후쿠시마 방류를 다루는 기사리포트에서 강모씨를 어민으로 출연시켜 피해를 호소했다. 그런데 이 강모씨라는 분은 지방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 소속으로 신안군 의원에 출마한 정치인이다. 이런 무책임한 보도행태와 직업윤리를 어떻게 해야하나"라고 질의했다.

이 수석은 "해당 언론사가 어떤 목적으로 보도 했는지는 모르겠지만 과학적 근거로 보면 후쿠시마 사고 이후 우리 해역의 방사능 수치는 전혀 변함이 없다"고 답했다.

clip20230831090743
김 의원은 "일본에서 방류한 오염수의 영향은 과학적으로 캐나다와 미국 해안에 가장 먼저 도달하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그런데, 이 두 국가가 방류에 반대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 자칭 전문가라는 분들이 이들 나라는 회를 먹지 않기 때문이라고 한다"며 "방사성 물질은 굽거나 끓여서 없어지지 않는다. 매우 무식하고 위험한 선동이다. 중요한 것은 배출 농도다. 캐나다와 미국은 원전 선진국으로 자국에 도달하는 방사성 물질의 농도가 낮아 그 영향이 미미하다고 이미 과학적으로 판단한 것인데도 언론이 나서서 가짜뉴스를 퍼나르고 있다"고 재차 지적했다.

이 수석은 "가짜뉴스에 대해서는 혹세무민을 넘어 수산업자 소상공인 생계를 위협하는 만큼 사회적으로 분명히 근절해야 한다고 본다"고 답했다.

김 의원은 삼중수소 가짜뉴스도 여전히 만연하다며 사실과 다름을 알렸다. 김 의원은 "매년 자연생성되는 삼중수소 양이 216g이고, 후쿠시마 전체 저장탱크 있는 양이 3g이다. 역사적으로도 전세계인의 삼중수소 연간 피폭량은 1960년대 미국, 소련 등의 핵실험 당시가 가장 높았고, 그 후로는 현저히 낮다. 2011년 후쿠시마 원전사고시 대량방류와 80,90년대 동해에 러시아의 무단 핵폐기물 투기 이후에도 영향이 없었다. 이것이 과학적 사실"이라고 강조했다.

clip20230831090636
clip20230831090616
이관섭 수석도 "말씀대로 60년대 수소폭탄실험 당시 발생한 삼중수소 농도가 훨씬 높았다"며 "삼중수소의 위험성에 대해 너무나 과장되게 침소봉대하면서 위기를 몰고 가고 만들어가는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정부는 과학적 기준에 부합하지 않을 방류가 이뤄졌을 때, 국제 제소를 고려하고 있으며, 현재 기준치 이하로 방류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지난 정부와 마찬가지로 국제원자력기구(IAEA) 등 국제 기준에 부합한다면 방류를 저지할 근거가 없다"고 덧붙였다.

김 의원은 이어 "민주당은 후쿠시마 방류가 런던협약 위반이고 하고 있는데 후쿠시마를 비롯해 모든 원전의 배출은 이런 상황을 고려해 수립된 배출기준에 따라 이뤄진다"며 "배출관리기준 이하 배출은 환경오염이 아니며, 이걸 가지고 국제협약 위반이라고 주장하는 것은 국제적 합의를 깨뜨리는 우를 범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또 이 수석에게 "현재 후쿠시마 방류를 걱정하는 국민이 많은 이유는 과학적으로 위험하기 때문이 아니라 정치적인 목적으로 가짜뉴스를 양산하고, 선동했기 때문"이라며 "이럴 때일수록, 정부는 우리해역과 수산물 감시를 강화하고 국민에게 올바른 사실을 전달하면서 국민을 안심시킬 의무가 있다"고 촉구했다.

이 수석은 "현재 정부는 200개 지점에서 해수의 방사능 오염도를 측정하고 있다. 내년에는 230곳으로 늘릴 계획"이라며 "국민들이 수산물에 대해 안심할 수 있도록 과학적 자료를 근거로 설득해나가겠다"고 강조했다.
jjs@ekn.kr

전지성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