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북한 김정은.로이터/연합뉴스 |
연합뉴스에 따르면, 뉴욕타임스(NYT)는 4일(현지시간) 미국 정부 관계자 등을 인용해 김정은이 이달 러시아를 방문할 계획을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김정은은 열차를 이용해 블라디보스토크로 이동한 뒤 푸틴 대통령과 회담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달 10∼13일에는 블라디보스토크 극동연방대에서 동방경제포럼(EEF)이 열린다. 이 자리에서 김정은과 푸틴이 만날 수 있다는 것이다.
다만 회담이 모스크바에서 열릴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관측이 있다.
앞서 미국 정부는 세르게이 쇼이구 러시아 국방부 장관 방북에 이어 김정은과 푸틴 대통령이 서한을 교환하는 등 북한·러시아 간 무기 거래 협상이 진전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무기 거래 협상에 따라 러시아군은 북한으로부터 우크라이나전에 투입할 상당한 수량과 다양한 유형의 탄약을 공급받을 개연성이 있다.
미 정부 관계자는 북한이 러시아가 원하는 탄약과 대전차 미사일 등을 공급하는 대가로 위성, 핵 추진 잠수함 등에 대한 첨단기술 이전 및 식량 지원을 요청할 수 있다고 전했다.
김정은은 동방경제포럼 참석 외에 블라디보스토크 러시아태평양함대사령부 33번 부두를 방문할 가능성이 거론된다.
이밖에 미 정부 관계자는 김정은이 보스토치니 우주기지를 방문할 가능성도 있다고 전했다.
보스토치니 우주기지는 러시아가 임대 중인 카자흐스탄 ‘바이코누르’ 우주기지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려고 새로 건설한 첨단 우주기지다. 블라디보스토크에서 북쪽으로 약 1500킬로미터 떨어진 곳에 위치하며 2016년 첫 로켓 발사가 이뤄졌다.
앞서 북한 정부 대표단 20명이 지난달 말 기차로 평양에서 출발해 블라디보스토크로 이동한 뒤 비행기로 갈아타고 모스크바를 향한 바 있다.
NYT는 이 일정을 두고 김정은이 방러를 진지하게 고려하고 있음을 시사한다고 전했다. 해당 대표단에는 지도부 경호 업무 담당자들도 포함된 것으로 전해져 김정은 러시아 방문에 무게를 실었다.
미국 정부는 김정은 방러 논의가 지난 7월 세르게이 쇼이구 러시아 국방부 장관 북한 방문 때 처음 제안된 것으로 보고 있다.
김정은이 러시아와의 군사 협력 강화를 제안하며 푸틴 대통령의 방북을 요청하자 쇼이구 장관이 김정은의 방러를 맞제안했다는 것이다.
앞서 김정은은 지난 2019년 4월 열차를 타고 블라디보스토크를 방문해 푸틴 대통령과 첫 정상회담을 한 바 있다.
한편 이날 NYT 보도와 관련해 미 정부 관계자도 러시아에서의 북한과 러시아 간 정상급 외교 접촉이 이뤄질 가능성이 있음을 공식 확인했다.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의 에이드리언 왓슨 대변인은 이날 뉴욕타임스(NYT)의 보도내용을 확인해달라는 질의에 "우리가 공개적으로 경고해왔듯이 러시아와 북한 간 무기 협상이 적극적으로 진전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왓슨 대변인은 "지난달 세르게이 쇼이구 러시아 국방부 장관이 북한이 러시아에 포탄을 판매하도록 설득하기 위해 북한을 방문했다"며 "우리는 김정은이 러시아에서의 정상급 외교 접촉(leader-level diplomatic engagement in Russia)을 포함해 이런 대화가 지속될 것으로 기대한다는 정보가 있다"고 밝혔다.
국무부 대변인도 "부분적으로는 미국의 제재와 수출통제의 성공 덕분에 러시아는 우크라이나를 상대로 한 군사작전을 지원하는 데 필요한 무기와 장비를 확보하기 위해 북한 같은 불량국가에 의지할 수밖에 없게 됐다"고 했다.
미국은 북한과 러시아의 무기 거래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결의 위반에 해당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러시아가 북한 등 다른 나라들로부터 군사 장비를 확보하려는 시도를 계속 찾아내 대응하겠다고 경고했다.
앞서 존 커비 백악관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전략소통조정관은 지난달 30일 브리핑에서 북러 무기거래 협상 진척 상황을 소개하면서 양국에 무기거래 협상 중단을 촉구했다.
유엔 주재 한미일 3국 대사도 당시 백악관 발표 직후 유엔 본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북한과 러시아 간 무기 거래가 안보리 결의에 위배된다며 협상 중단을 요구했다.
미 국무부 대변인은 "우리는 북러 간 무기 거래가 가능하도록 노력하는 개인과 단체를 폭로, 제재함으로써 직접 행동에 나서고 있다"며 "우리는 러시아가 북한이나,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전쟁을 지원할 준비가 된 다른 국가에서 군사장비를 확보하려는 시도를 계속해서 식별, 폭로, 대응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hg3to8@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