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윤 대통령, 국민의 뜻에 반하는 행위 하면 끌어내려야"
검찰 "단식으로 지장 초래될 수 있어…늦더라도 7~9일 출석해야"
![]() |
▲6일 국회에서 단식 중인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농성장에서 물을 마시고 있다. 연합뉴스 |
[에너지경제신문 윤수현 기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당내에서 윤석열 대통령 ‘탄핵’이 거론되는 가운데 일주일째 단식 투쟁을 이어갔다.
이에 대북송금 의혹 수사 관련 이재명 대표의 피의자 검찰 출석을 둘러싸고 이 대표와 검찰 간 팽팽한 힘 겨루기가 펼쳐졌다.
이 대표는 지난달 30일, 이달 4일 등 두 차례 검찰 소환 통보에도 검찰에 출석하지 않았다.
이 대표는 대북송금 의혹 수사 관련 검찰의 피의자 출석 통보에 다음주인 12일 출석하겠다는 입장을 검찰에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검찰은 이같은 이 대표의 12일 출석 입장을 일축하고 세번째로 이번 주인 7∼9일 출석할 것을 통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는 이 대표의 이어지는 단식이 대북송금 의혹 수사의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고 보고 이런 변수 차단에 나선 것으로 풀이됐다.
이 대표가 단식을 12일까지 이어갈 경우 이 대표 건강에 이상이 생길 수 있어 그 때 가면 자신의 의지에도 검찰 출석 자체가 어려울 수 있다는 게 검찰측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또 건강에 이상이 생긴 이 대표를 소환하는 것에 대한 여론 악화의 부담도 검찰이 이번 주 이 대표의 검찰 출석을 압박하는 요인으로 꼽히고 있다.
이 대표는 6일 당 최고위원회 회의에서 "통일부 장관을 경질하라"고 촉구했다. 동시에 유튜브 채널 ‘김어준의 겸손은 힘들다 뉴스공장’에 출연해 "정말로 국민들을 위해서 일하는지를 우리 국민들이 감시하고 잘못할 경우에는 지적하고 정말로 국민의 뜻에, 국리민복(國利民福)에 반하는 행위를 하면 끌어내려야 하는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러한 이 대표의 발언은 최근 민주당 내 일각에서 ‘윤 대통령 탄핵’ 주장이 거론되고 있는 것의 연장선상으로 보인다는 해석이 나왔다. 다만 당 내에서는 "내각 총 사퇴를 의미하는 것"이라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박성준 민주당 대변인도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해임건의안 등 김 장관 발언에 대한 대응 수위를 논의 중이라면서도 "탄핵과 관련한 이야기는 없었다"고 언급해 지도부 차원의 윤 대통령 탄핵 추진 가능성에는 선을 그었다.
이 대표는 윤 대통령의 ‘탄핵’을 시사하며 단식투쟁을 지속하는 상황에서 여전히 검찰과 소환 날짜에 대한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
이 대표는 쌍방울 그룹 대북송금 의혹과 관련해 오는 12일 검찰에 출석하겠다고 통보하자 검찰이 "이번 주에는 조사가 이뤄져야 한다"고 맞섰다.
검찰은 "이 대표가 앞서 2회 불출석한 바 있고 단식으로 피의자 조사에 지장이 초래되고 있는 상황이라 늦더라도 오는 7~9일 피의자 조사가 이뤄져야 한다는 출석요구를 했다"고 입장을 밝혔다.
소환 일정을 두고 이 대표와 검찰 측의 힘 겨루기가 계속되고 있는 것이다.
검찰이 이번 주에 이 대표를 소환하는 것은 이 대표의 단식투쟁이 이어지게 되면 다음주 쯤에는 이 대표의 건강 악화로 인해 검찰 소환 조사에 응할 수 없는 상태가 될 것을 우려해서다. 이 대표가 단식을 멈추지 않을 경우 출석하겠다고 통보한 12일은 단식 12일차가 된다. 그 때가 되면 건강 상태가 악화돼 검찰의 소환 출석에 응하지 못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 경우 이달 내 조사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일각에서는 이 대표가 검찰의 3차 소환 통보 불응해 소환조사 일정에 차질이 생기면 곧바로 구속 영장을 청구할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앞서 양측은 그간 소환 일정을 두고 신경전을 벌여 왔다. 지난 1일 이 대표 측이 4일 검찰에 출석해 오전 조사만 받고 추후 일정을 협의하겠다고 하자 검찰은 "2시간 만에 조사를 중단할 수는 없다"고 거부했다.
그러자 이 대표 측이 다시 "4일 조사를 받지 않겠다"며 검찰이 조사를 거부하고 있다고 주장했고 검찰은 "이 대표가 조사 일정에 차질을 주고 있다"며 반박했다.
대북송금 사건 관련 사법방해 의혹을 받고 있는 박찬대·천준호 민주당 의원 조사도 미뤄지게 됐다. 당초 검찰은 지난 3일 이들에게 참고인 조사를 받으라고 통보했지만 두 의원은 출석을 거부했다.
ysh@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