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기업 진출·투자 활발
중장기적 접근법 재정립해야
친환경차·인프라 등 산업 주도 필요
"네트워크 고도화 기대"
인도와 인도네시아가 주목받고 있다. 인구와 자원이 풍부한데다 경제적으로 성장잠재력이 충분해서다. 특히 중국 경제가 침체되고 글로벌 공급망이 재편되면서 교역국으로서 가치가 크게 뛰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5일부터 5박7일 일정으로 인도·인도네시아를 방문하는 데 경제인들이 대거 동행한 것도 이 때문이다. 양국은 올해로 나란히 우리나라와 수교 50주년을 맞았다. 에너지경제신문은 인도·인도네시아 경제·산업 상황을 진단하고 우리 기업들의 움직임을 정리했다. 공급망·첨단기술 등 앞으로 협력을 강화해야 할 분야가 어디인지도 살펴봤다. [편집자주]
글 싣는 순서
[인도·인니 수교 50주년 기획①] 韓기업 ‘종횡무진’ 현장 누빈다
[인도·인니 수교 50주년 기획②] 성장 가능성 ‘무궁무진’ 제2의 中 되나
[인도·인니 수교 50주년 기획③] "공급망·첨단기술 등 협력 강화해야"
[인도·인니 수교 50주년 기획④] ‘모범생’ 현대차그룹, 정의선 ‘현장경영’ 빛났다
▲8일(현지시간) 자카르타 대통령궁에서 열린 공식환영식에서 윤석열 대통령(왼쪽)과 조코 위도도 인도네시아 대통령이 함께 걷고 있다. 연합 |
[에너지경제신문 여헌우 기자] ‘제2의 중국’으로 평가받는 인도와 인도네시아에서 우리나라가 존재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공급망·첨단기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해야할 것으로 보인다.
10일 재계에 따르면 한국과 인도는 1973년 11월21일 처음 외교관계를 수립했지만 양국 무역과 투자 관계는 비교적 최근 시작됐다. 1990년대 후반 인도가 한국의 자동차산업과 IT 기술에 주목하면서 삼성, 현대차, LG 등이 현지에 진출했다. 2009년에는 양국 간 ‘포괄적 경제동반자 협정’(CEPA)이 체결되면서 본격적으로 교역이 확대됐다.
▲한국의 대인도 직접투자 변화 추이. 사진=산업연구원. |
산업연구원(KIET)은 ‘한·인도 수교 50주년과 장기적 관점에서의 협력 방향’ 보고서를 통해 양국 수교 이래 50년 동안 인도 경제는 크게 성장했다고 진단했다. 일반적인 개도국의 경제 성장 경로와 다르게 제조업 중심의 성장을 거치지 않고 바로 서비스업 중심으로 이동했다는 게 인도의 특징이다. 이는 IT산업의 발전으로 이어졌지만 동시에 여러 경제·사회적 문제를 초래했다. 인도 정부가 외국인 투자 유치에 중점을 둔 제조업 육성 정책 ‘메이크 인 인디아’(Make in India)를 시행한 것도 이 같은 이유 때문이라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박병열 KIET 산업통상연구본부 해외산업실 부연구위원은 "메이크 인 인디아 정책은 단기적으로 봤을 때 중국을 대체할 생산 입지가 필요한 우리나라에 매력적인 기회"라면서도 "우리는 인도가 장기적으로 해당 정책을 통해 이루고자 하는 목표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 인도의 궁극적인 목표는 단순히 제조업 분야에서 생산기지를 유치하는 것뿐만 아니라, 인프라 개발을 통해 제조업의 토대를 마련하는 데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인프라 개발 분야에서의 진출을 장려해 제조업에 집중돼 있는 대인도 직접투자를 다변화할 필요가 있다"며 "인프라 분야의 인도 정부 중점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비교우위를 가질 수 있는 분야를 선별하고 진출 장벽을 낮추어 주는 노력이 필요하다. 인도가 만성적인 무역 적자에 민감하다는 점을 고려해 인도의 개발에 기여하면서 양국이 동반 성장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협력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최근 ‘한-인도네시아 경제협력 현황과 과제’ 보고서를 통해 양국간 경제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아세안 지역을 전기차 및 배터리 생산의 거점으로 인도네시아를 활용할 것을 제안했다. 아울러 인도네시아가 준비 중인 누산타라 신도시 이전과 관련해 모빌리티 등 디지털 분야와 스마트시티 건설 협력도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보고서는 전 세계 1위 니켈 매장량을 보유하고 있는 인도네시아를 글로벌 공급망의 전략 기지로 활용할 것을 주문했다. 지난해 인도네시아 니켈 생산량은 전 세계의 약 37%를 차지하기도 했다. 특히 우리 기업은 전기차용 배터리 생산을 위해 핵심 원료인 니켈을 채굴과 가공하는 과정뿐만 아니라 배터리셀까지 제조하는 모든 공정을 구축해야 한다. 이를 통해 향후 공급망 안정성을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도별 한-인니 교역액 및 투자액 추이. 사진=대한상공회의소. |
인도네시아와 협력해 전기차, 배터리 등 첨단산업 생태계를 만들어야 한다는 제안도 나왔다. 단순히 원료를 갖고 생산하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원자재, 중간재 공급, 배터리 재활용이나 전기 이륜차, 충전 인프라, 나아가 정비 인력 양성을 통한 산업 기반을 갖춰야 한다는 게 골자다.
인도네시아 신수도 건설과 관련해 인프라 구축 협력과 스마트 시티 건설 등 디지털 협력도 한-인니가 함께 할 것을 보고서는 주장했다. 기후변화로 인해 수도 이전을 준비하는 만큼 태양광 발전 투자를 활성화하기 위한 양국 정부의 노력이 필요하고, 더불어 인니의 신재생에너지 정책이 늘어나고 있어 기술력을 가진 한국의 기업들 참여가 확대돼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신윤성 산업연구원 박사는 "니켈뿐만 아니라 세계 2위 주석이나 망간, 보크사이트, 코발트 등 핵심 광물의 안정적인 공급처로써 인도네시아와의 공급망 협력이 중요시되고 있다"며 "인도네시아와는 상호보완적인 산업구조를 갖고 있어 경제 네트워크를 고도화해야 하는 시점으로 그 바탕은 공급망 협력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yes@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