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단체, 시멘트 업계 폐기물 처리 대책마련 국회 세미나 열어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3.09.15 11:17
화면 캡처 2023-09-15 104237

▲노웅래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등 시민단체들이 지난 14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쓰레기 시멘트 이대로 안전한가?’ 정책토론회를 개최하고 있다.

[에너지경제신문 이원희 기자] 시민단체들이 시멘트업계의 폐기물 처리를 두고 환경대책을 마련하라고 나섰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소비자주권시민회의, 한국여성소비자연합, 자원순환사회연대, 환경실천연합회 등 시민단체들이 지난 14일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노웅래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쓰레기 시멘트 이대로 안전한가?’ 정책토론회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15일 개최했다.

이날 토론회에는 환경부 관계자들과 환경 폐기물 처리 관련 전문가들이 참석했다.

토론회에 따르면 시멘트 제조시설인 소성로에서 사용하는 폐기물은 지난 2016년 665만톤에서 지난 2021년 905만톤으로 5년 만에 약 240만톤(36.1%) 증가했다.

또한, 폐기물 사용량 증가와 함께 지난 2021년 시멘트 공장 11곳에서 대기배출허용기준을 초과한 사례가 1742건으로 나타났다.

정책토론회에서는 시멘트 공장에서 처리되는 폐기물에 대해 제대로 된 환경기준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노웅래 의원은 토론회에 참석해 "환경부가 과거 경제 발전을 위해 쓰레기 시멘트로 둔갑하는 것을 눈감아 줄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다"며 "하지만 경제가 성장한 만큼 그에 맞게 시멘트 공장 폐기물 사용 특혜, 봐주기를 그만하고 이제는 환경부 이름답게 미비한 환경기준을 정상화해야 하는 시기가 왔다"고 밝혔다.

한화진 환경부 장관은 직접 참석 대신 세미나에 보낸 축사를 통해 "환경부는 시멘트 산업의 환경관리 강화를 위해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목소리를 경청하고 소통을 강화해, 종합적인 시각에서 해결방안을 찾아 나가고 있다"며 "이러한 과정을 거쳐 올해부터 시멘트 사업장에 통합환경허가를 적용하고 대기배출허용기준도 단계적으로 개선해 나갈 계획"이라고 알렸다.


wonhee4544@ekn.kr

이원희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