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내기주 공모가 하회 속출… 'IPO 투자' 아슬아슬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3.09.19 16:11

최근 3개월 신규상장사 35%, 공모가보다 낮게 거래



뷰티스킨·버넥트 등 상장 당일 주가 대비 절반 뚝



상장 첫날 가격제한폭 확대 시행 후 주가 널뛰기 심화

2023-09-19_165700.jpg


[에너지경제신문 김기령 기자] 최근 신규 상장한 새내기주 가운데 공모가를 하회하는 종목이 속출하고 있다. 대어급 IPO가 증가하는 등 IPO 시장은 커지고 있지만 상장 이후 주가가 맥을 못 추고 있는 기업들이 늘어나는 양상이다.

1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최근 3개월(지난 6월19일~9월19일 기준) 동안 IPO를 통해 신규 상장한 코스피·코스닥 기업(스팩 제외) 20곳 가운데 7곳(35%)이 공모가 대비 주가가 하락했다.

소프트웨어 개발 업체인 버넥트는 이날 1만1170원에 거래를 마쳤다. 지난 7월26일 코스닥 상장을 앞두고 확정된 공모가인 1만6000원보다 30% 넘게 떨어졌다. 상장 당일 장중 2만4800원까지 올랐던 것과 비교하면 절반가량 하락한 셈이다.

지난달 코스닥에 상장한 반도체 제조업체인 시지트로닉스 역시 최근 주가가 2만원선을 밑돌더니 이날 공모가 2만5000원보다 28% 하락한 1만7960원에 거래를 마쳤다.

이외에도 철강 제조업체 넥스틸(-17.7%), 소프트웨어 개발업체 오픈놀(-19.1%), 콘텐츠 제작·배급업체 빅텐츠(-13.4%) 등도 주가가 공모가 대비 큰 폭으로 하락했다.

공모가 대비 주가가 하락하는 데는 최근 기관 수요예측에서 공모가 희망범위 상단을 초과하는 경우가 늘어난 것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주식 시장이 좋지 않은 데 반해 IPO 시장에 대한 높아진 기대감에 공모가만 지나치게 오르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앞서 시장에서는 조단위 IPO 기업들이 연내 상장을 앞두고 있다는 소식에 IPO 시장 흥행에 대한 기대감이 고조돼왔다.

이날 주가가 공모가 대비 30% 가까이 하락한 시지트로닉스는 지난 7월 진행된 기관투자자 수요예측에서 경쟁률 1703.85대 1을 기록, 공모가 희망범위 상단(1만8000~2만원)을 초과한 2만5000원에 공모가를 확정한 바 있다.

이달 수요예측을 진행해 결과를 발표한 기업 5곳 중 아이엠티, 한싹, 레뷰코퍼레이션 등 3곳이 공모가 희망범위 상단을 초과한 것으로 집계됐다. 나머지 2곳 역시 공모가 희망범위 상단에서 공모가를 확정했다.

지난 6월26일 ‘상장 첫날 가격제한폭 확대’ 제도가 시행된 이후 주가 급등락폭이 더 커지면서 주가 널뛰기 현상이 더 심화됐기 때문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공모가가 2만6000원에 책정된 뷰티스킨은 지난 7월24일 상장 당일 주가가 6만9200원까지 올랐다. 공모가 대비 주가가 3배 가까이 뛴 것이다. 하지만 다음날 주가는 공모가 수준인 2만6400원까지 내려갔고 이후 주가는 공모가를 하회하는 선에서 등락하고 있다.

최근 주식 시장 불황이 IPO 시장으로 이어지면서 공모주에 투자한 개인 투자자들의 혼란은 더욱 커지고 있다.

IR업계 한 관계자는 "공모주들의 주가가 하락하는 데는 최근 시장 상황이 좋지 않은 데 따른 일시적인 영향을 많이 받고 있는 것"이라며 "주가 예측 자체가 쉽지 않은 영역인데다 상황이 좋지 않아 개인 투자자들이 투자하기 어려워진 환경"이라고 말했다.

giryeong@ekn.kr

김기령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