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정이하여신비율 상승폭 확대...금감원 "손실흡수능력 제고 지도"
![]() |
▲(자료=금감원) |
26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금융지주회사 경영실적 자료에 따르면 상반기 금융지주회사 총 10곳(KB, 신한, 농협, 하나, 우리, BNK, DGB, JB, 한투, 메리츠)의 당기순이익은 13조623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1% 증가했다.
자회사 권역별로는 은행 순이익이 1조3172억원, 금융투자 1조4977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6.7%, 78.7% 증가했다. 보험 순이익은 전년 대비 41.7% 증가한 6435억원이었다. 반면 여전사 등은 25.1% 감소한 5643억원이었다.
권역별 이익 비중은 금융투자가 작년 상반기 13.6%에서 올해 상반기 20.1%로 늘었고, 보험 역시 11%에서 12.9%로 증가했다. 반면 이 기간 은행 비중은 56.2%에서 54.4%로, 여전사 등은 16%에서 9.9%로 감소했다.
6월 말 현재 금융지주의 연결총자산은 3477조5000억원으로 작년 말(3418조2000억원) 대비 1.7% 늘었다. 자회사 권역별로는 은행 총자산이 43조원 늘었고, 금융투자(40조5000억원)와 여전사 등(2조1000억원)도 작년보다 증가했다. 반면 보험 총자산은 회계제도 변경 등으로 33조5000억원 감소했다.
금융지주사 총자산 대비 자회사 권역별 자산 비중은 은행이 74.9%로 가장 높은 가운데 금융투자는 10.4%, 여전사 등이 6.7%, 보험 6.6%를 차지했다.
6월 말 현재 은행지주의 총자본, 기본자본, 보통주 자본비율은 각각 15.75%, 14.53%, 12.83%였다. 은행지주 8곳 모두 규제비율을 상회했다.
다만 6월 말 현재 금융지주의 고정이하여신비율은 0.63%로 전년 말(0.49%) 대비 0.14%포인트 상승했다. 금융권역 전반의 고정이하여신 증가로 인해 작년 말 상승세로 전환한 고정이하여신비율은 상승 폭이 커지고 있다. 금융지주 고정이하여신비율은 2018년 말 0.74%에서 2019년 말 0.58%, 2020년 말 0.58%, 2021년 말 0.47%로 하락한 뒤 작년 말 0.49%, 올해 6월 말 0.63%로 상승했다.
손실흡수능력 지표인 대손충당금적립률은 152.9%로 전년 말(170.5%) 대비 17.6%포인트(p) 감소했다.
6월 말 현재 금융지주의 부채비율은 27.34%로 작년 말(28.99%) 대비 1.66%포인트 감소했다. 이중레버리지비율은 111.88%로 전년 말(114.28%) 대비 2.40%포인트 하락했다.
금감원은 "상반기 중 금융지주사의 자산 성장세는 소폭 둔화된 가운데 은행, 금융투자, 보험 권역의 비이자이익이 크게 늘면서 전년 동기에 이어 양호한 실적을 시현했다"고 평가했다.
금감원은 향후 감독 방향에 대해 "금리 등 외부요인 변동에 대비한 리스크관리를 강화하는 한편, 안정적 성장을 위한 사업다각화 등을 지원하고, 취약차주 및 대체투자 관련 익스포저에 대한 그룹 차원의 관리 강화 및 충분한 충당금 적립을 통한 손실흡수능력 제고를 지도하겠다"며 "개별 지주 상황에 맞는 사업 포트폴리오 보완, 조정 등에 대한 지원을 통해 금융지주의 건전한 성장이 이뤄지도록 유도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