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연합뉴스 |
1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현재 기준금리가 3.5%로 약 7개월 동안 동결되고 있다.
한은은 미 연준에 앞선 지난 2021년 8월 기존 0.50%였던 기준금리를 0.25%포인트(p) 올려 금리 인상에 시동을 걸었다. 같은 해 11월, 지난해 1·4·5·7·8·10·11월과 올해 1월까지 0.25%p씩 여덟 차례, 0.50%p 두 차례 등 모두 3.00%p 높아졌다. 지난 2월부터는 금리가 동일한 수준에 유지되고 있다.
반면 연준은 우리보다 늦은 2022년 3월 0.00∼0.25%였던 기준금리를 0.25∼0.50%로 올린 것을 시작으로 지난 7월까지 모두 11차례에 걸쳐 금리를 인상했다.
미국이 가파르게 금리를 인상하면서 지난해 7월 미국 기준금리(2.25∼2.50%)가 한국 기준금리(2.25%) 위로 올라가는 한미 기준금리 역전이 시작됐다.
이후 미국 기준금리에서 한국 기준금리를 차감한 역전폭은 지난해 말 1.25%p에 이어 올해 7월 기준 사상 초유의 2.00%p까지 확대된 뒤 유지되고 있다.
한미 기준금리 역전 기간은 일시적으로 금리차가 없었던 지난해 8월을 제외하면 지난해 7월 이후 이달까지 약 15개월째 이어지고 있다.
그러나 연준은 지난달 19∼20일 열린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결과에서 정책금리(중간값)가 올해 말 5.6%까지 오른 뒤 내년 말 5.1%, 2025년 말 3.9%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했다.
앞서 미국의 금리 인상으로 인해 한미 기준금리가 역전된 시기는 모두 세 차례다.
금리 역전기 1기는 1999년 6월부터 2001년 3월까지 21개월간 이어졌다. 2기는 2005년 8월부터 2007년 9월까지 25개월간, 3기는 2018년 3월부터 2020년 3월까지 24개월간 지속됐다.
이번의 경우, 한국 기준금리가 현재 3.5%인 것을 고려하면 연준이 내년에 기준금리 인하에 나서더라도 한미 금리 역전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한은이 연준 금리인하에 맞춰 기준금리를 내리기 시작할 것으로 예상되는 점을 감안해도 그렇다. 만약 내년 말까지 금리 역전이 지속되면 역대 최장인 29개월, 후년 말까지 이어지면 41개월에 달하게 되는 셈이다.
문제는 이번 한미 금리 역전시기가 계속되거나 역전폭이 확대될 경우 금융시장 불안이 확대될 우려를 배제할 수 없다는 점이다.
통상 한미 기준금리 차이 확대는 우리나라 채권 수요를 약화시켜 시중금리에는 상승 압력으로, 주가에는 하락 압력으로 작용할 소지가 있다. 아울러 자본유출 우려 등으로 원화가치 하락을 유발할 가능성도 있다.
반면 이런 우려의 근거가 약하다는 분석도 있다.
국제금융센터는 ‘최근 한미 정책금리 격차 확대 관련 평가’ 보고서에서 오랜 기간 국내 증권자금 유출입은 금리 수준 외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해왔으며, 최근에도 금리 격차로 인한 투자자금 유출 우려를 상쇄할 수 있는 요인들이 다수 존재한다고 지적했다.
국제금융센터는 구체적 요인으로 재정거래 목적의 원화채권 투자 증대, 비교적 우수한 한국 신용도, 환 익스포저 노출 부담, 상대적인 한국의 물가 안정, 금리차-환율 간 상관성 불투명 등을 거론했다.
그러면서 "한미 정책금리 격차 확대에도 불구하고 투자자금 유출 가능성은 높지 않은 것으로 평가된다"면서 "그에 따른 원/달러 환율 상승 압력 역시 크지 않을 전망"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