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에너지경제신문 송두리 기자] 토스뱅크는 출범 2년간 800만 고객을 확보했다고 12일 밝혔다.
토스뱅크는 지난달 말 기준 고객 수는 800만명이라며, 2021년 10월 출범 후 일 평균 약 1만1000명의 새로운 고객이 토스뱅크를 찾았다고 설명했다.
규모의 성장도 이뤘다. 지난달 말 기준 여신 잔액은 총 11조3000억원, 수신 잔액은 총 22조3000억원 규모다.
토스뱅크는 제1금융권인 은행 문턱을 낮추고 고객 범위도 넓혔다. 출범 이후 지난달 말까지 토스뱅크가 포용한 중저신용자 고객은 총 37만4000명(KCB·NICE 기준 모두 적용시)에 달했다.
토스뱅크가 인터넷전문은행 처음 선보인 비대면 개인사업자 대출 ‘토스뱅크 사장님 대출’은 지난해 3월 출시 이후 지난달 말까지 총 2조7400억원이 공급됐다. 특히 시중은행에서 대출받기 힘든 운수업, 창고업 등에 종사하는 고객들을 대상으로 포용금융을 전한 결과 개인사업자 대출 중 중저신용자 비중만 48.3%(잔액 기준)에 달했다.
연 5.5% 고정금리를 제공하는 비대면 사장님 대환대출은 1650억원을 시장에 공급했다. 지난 8월에 출시한 햇살론뱅크는 2개월 만에 저신용자 1만8000만명에게 1400억원을 공급했다.
토스뱅크는 지난해 10월 국내 금융사 최초로 선보인 매달 내는 돈 낮추기 서비스를 선보였다. 원금과 이자를 매달 함께 갚아 나가야 하는 고객을 대상으로 월 실질 부담액을 줄이는 서비스다. 고객 평균 32만2000원의 월 원리금 부담을 덜었다.
토스뱅크는 은행의 사회적인 책임에도 적극 나섰다.
앞서 토스뱅크는 2021년 11월 국내 은행 최초로 안심보상제를 선보였다. 고객들이 입은 금융범죄 피해 금액을 보상하는 정책으로, 보이스피싱, 중고거래 사기 등의 범죄가 고객들의 일상을 흔드는 문제에 착안했다.
토스뱅크는 출범 이후 지난달 말까지 2년간 총 2500건, 19억원에 달하는 피해를 보상했다. 이에 대한 실질적인 피해를 구제하고 일상으로의 회복을 돕는 것이 은행의 사회적 책임이라고 판단했다. 사회에 막 발을 내딛은 사회초년생부터, 은퇴 후 노후자금을 어렵게 모았던 고객까지 토스뱅크에서 피해를 회복할 수 있었다.
지난 2월 인터넷은행 처음 도입한 100% 자동화 비과세종합저축 서비스는 지난달 말 기준 2만5000명의 고객이 이용했다. 토스뱅크가 이를 전면 비대면·자동화한 결과 장애인 기초생활수급자 고령자(만 65세 이상) 등 사회취약계층은 물론 국가유공자 독립유공자와 그 유가족 등 사회를 위해 헌신한 분들이 최적화 된 금융 혜택을 누릴 수 있는 기회를 열었다.
강화된 보이스오버 서비스로 시각장애인들의 금융 접근성도 높였다. 숫자뿐 아니라 이미지까지 음성으로 읽어주면서 이미지로 등록된 상품 설명이나 이벤트 소개 등도 알 수 있게 됐다.
국내 외국인 대상 비대면 뱅킹서비스를 제공하는 외국인 계좌개설 서비스는 토스뱅크가 인터넷은행 중 처음으로, 또 유일하게 운영하고 있다. 출시 이후 외국인 고객이 예치한 금액은 총 1860억원에 이른다.
홍민택 토스뱅크 대표는 "2년간 토스뱅크가 이어온 따뜻한 도전이 가능했던 이유는 고객 관점에서 이해하려 했던 깊이 있는 고민이 있었기 때문"이라며 "앞으로도 고객들이 현실에서 맞닥뜨리는 여러 어려움에 주목하고 고객의 금융주권을 생각하는 은행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dsk@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