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 대중화 선봉 설 것"…기아, 전동화 전략·콘셉트카 선보여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3.10.12 16:00

세번째 전용 전기차 EV5 2025년 출시…EV3·4 콘셉트카 공개
다양한 가격대 라인업, 글로벌 충전 인프라 확대 등 전략 발표

(사진 1) 기아, EV 데이 개최(EV 라인업)

▲(왼쪽부터) EV6 GT, EV4 콘셉트, EV5, EV3 콘셉트, EV9 GT 라인 차량이 서 있다.

[에너지경제신문 김정인 기자] 기아가 12일 전기차(EV) 라인업 확장과 충전 인프라 확대 등을 통해 전기차의 대중화를 이끌고 전동화 모빌리티 시대로의 전환을 앞당기는 브랜드가 되겠다는 비전을 밝혔다.

기아는 이날 경기도 여주시에 위치한 마임비전빌리지에서 ‘2023 기아 EV 데이’를 개최하고 EV 시대로의 전환을 앞당기기 위한 청사진을 공개했다.

송호성 기아 사장은 이날 행사에서 인사말을 통해 "지속가능한 모빌리티 솔루션 제공자로서 기아가 그리는 전동화로의 전환은 선택이 아닌 필수"라며 "EV9과 EV6에 적용한 첨단 EV 기술과 친환경 소재, 대담한 디자인, 직관적인 서비스를 앞으로 출시할 대중화 EV 모델로 확대 전개함으로써 가능한 많은 고객에게 기아의 차별화된 가치를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사진 2) EV5 외장

▲기아 EV5 차량이 전시돼 있다.

기아는 이 자리에서 준중형 전동화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더 기아 EV5’를 국내에 처음 공개했다. EV5는 EV6, EV9에 이은 기아의 세번째 전용 전기차 모델로 다양한 유형의 차량을 구성할 수 있도록 모듈화 및 표준화된 통합 플랫폼인 ‘E-GMP’를 적용한 최초의 전륜 기반 전용 EV다.

조상운 기아 글로벌사업기획사업부장 상무는 "EV5는 EV 대중화의 시작점에 있는 기아의 글로벌 전기차 모델"이라며 "EV5는 향후 기아가 출시할 EV4 및 EV3와 함께 전기차 대중화 트렌드를 이끌 것"이라고 소개했다.

(사진 7) EV4 콘셉트 외장

▲기아 EV4 콘셉트 차량이 전시돼 있다.

(사진 10) EV4 콘셉트 내장

▲기아 EV4 콘셉트 차량의 내부 모습.

기아는 이날 세계 최초로 EV4 콘셉트와 EV3 콘셉트를 공개하며 기아 전기차 라인업에 새롭게 추가될 모델을 예고했다. 카림 하비브 기아글로벌디자인센터 부사장은 "기아는 EV9과 EV6를 비롯해 EV5, EV4 콘셉트, EV3 콘셉트의 디자인을 통해 새로운 세대의 고객에게 더욱 의미 있고 더 나은 방향의 경험과 가치를 제공할 것을 약속하고 있다"고 말했다. 기아 관계자에 따르면 EV3는 내년 상반기, EV4 내년 하반기, EV5는 2025년 상반기에 출시될 계획이다.

기아는 신차 및 콘셉트카 공개와 함께 △다양한 가격대의 EV 풀라인업 제공 △글로벌 충전 인프라 확대 구축 △안정적인 EV 생산 및 배터리 공급 체계 구축 등 EV로의 전환을 가속화하기 위한 전략을 밝혔다.

(사진 12) EV3 콘셉트 외장

▲기아 EV3 콘셉트 차량이 전시돼 있다.

(사진 15) EV3 콘셉트 외장

▲기아 EV3 콘셉트 차량의 내부 모습.

특히 이날 소개한 EV5와 EV4, EV3 등 중소형 모델은 3만5000달러에서 5만달러의 가격대로 출시해 전기차의 대중화 및 보편화를 선도한다는 계획이다. 충전 환경의 경우 전기차 구매에 대한 장벽이 되지 않도록 글로벌 충전 인프라를 확대 구축한다. 또 안정적인 전기차 생산 및 배터리 공급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2025년까지 글로벌 EV 생산 거점을 8개로 확장한다.

기아는 이 같은 전략을 통해 연간 글로벌 전기차 판매를 2026년 100만대, 2030년에는 160만대 수준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기아는 △내년 상반기 통합 앱 ‘Kia App(기아 앱)’ 출시 △오프라인 거점 최적화·다변화·디지털화 △생성형 AI 서비스 등 편리한 고객경험 제공으로 전동화 전환을 가속화한다.

류창승 기아 고객경험본부 전무는 "기아는 차량 구매와 관련한 모든 시공간적 고객접점에서 고객이 걱정 없이 차량을 구매하고 쉽게 이용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기아는 고객의 더 나은 미래를 위한 방법을 제시하고자 노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kji01@ekn.kr

김정인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