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산자위·복지위·농해수위 등 3개 상임위 소환
카카오, 다음 축구응원 조작 관련 종감 소환 가능성↑
![]() |
▲왼쪽부터 김범수 카카오 미래이니셔티브센터장, 최수연 네이버 대표, 이해진 네이버 글로벌투자책임자가 지난해 10월 24일 국회에서 열린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및 소관 감사대상기관에 대한 종합감사에서 증인 선서를 하고 있다. 사진=국회사진기자단 |
[에너지경제신문 윤소진 기자] 올해도 플랫폼 국감이 재연되고 있다. 네이버는 기술탈취, 위조 상품 판매, 의료정보 유출 등으로 3개 상임위에 불려 나갔다. 카카오는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산자위) 국감에 증인으로 소환됐다가 막판 철회됐지만, 올해 최대 이슈로 떠오른 가짜뉴스·여론조작 논란으로 마지막 종합감사까지 긴장의 끈을 놓을 수 없는 상황이다.
◇ 네이버, 하루에 3개 상임위 출석 ‘분주’
15일 업계에 따르면 네이버는 지난 12일 하루 동안 산자위와 보건복지위원회(복지위),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농해수위) 국감장에 증인으로 출석했다.
먼저 산자위에선 네이버 스마트스토어를 비롯한 온라인 플랫폼에 유통되는 위조 상품과 가짜리뷰 관련해 질의를 받았다. 이날 증인으로 출석한 김주관 네이버 비즈니스 사내 독립기업(CIC)대표는 "다양한 사전 판매 중단을 조치를 하고 있음에도 향수·화장품에 대해선 권리사 감정 지원을 잘 받지 못해 자체 노력만으론 어려운 지점이 있다"고 해명하며 "가짜리뷰 근절을 위해선 영수증 리뷰 등 실제 구매한 고객이 리뷰를 남기도록 하는 정책도 시행 중"이라고 말했다.
복지위 국감에는 당초 최수연 네이버 대표가 증인으로 소환됐으나, 유봉석 네이버 부사장(서비스운영총괄)으로 변경됐다. 그는 네이버페이를 이용한 실손보험 청구 서비스의 개인의료정보 유출 관련해 질의를 받았다. 농해수위에서는 김정우 네이버쇼핑 이사가 출석해 온라인 플랫폼 내 원산지 표시 위반 등에 대해 해명했다.
◇ 카카오, 종합감사까지 안심하긴 일러
문태식 카카오VX 대표도 기술 탈취 의혹으로 산자위 국감에 출석할 예정이었으나 철회되면서 한숨을 돌렸다. 다만 이달 말 예정된 종합감사에 기업 증인이 추가 소환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안심하긴 이르다는 분석이 나온다.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과방위)는 여야 합의 불발로 증인 없이 국감을 개시한 상황으로, 기업 측 의견을 듣기 위한 추가 증인 신청 가능성이 높다.
특히 카카오는 최근 다음의 아시안게임 응원 페이지 중국 축구팀 응원 비율 논란 등 총선을 앞두고 여론조작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오는 26일 과방위 종합감사에 소환될 가능성이 제기된다.
다음은 지난 1일 항저우 아시안게임 한중 남자 축구 8강전 당시 ‘클릭 응원’ 페이지에서 중국 응원 비율이 한때 90% 이상 높게 집계되면서 여론 조작 논란에 휩싸였다. 이후 한덕수 국무총리는 ‘여론 왜곡 조작 방지 대책’ 마련을 위한 범부처 태스크포스(TF) 구성을 지시했고, 이 위원장은 포털에 대한 적극적인 규제 강화를 시사했다.
이와 함께 과방위가 지난 10일 진행한 방통위 국감에서 가장 많이 언급된 것은 ‘가짜뉴스’였던 만큼 네이버의 뉴스 검색 순위 알고리즘 조작 의혹 관련 네이버 측 관계자도 추가로 소환될 가능성이 있다.
지난해 과방위는 종합감사에 홍은택 카카오 대표를 포함한 정보통신기술(ICT) 기업 임원들을 소환한 바 있다. 만약 올해 네이버 창업자 이해진 글로벌투자책임자(GIO)와 카카오 창업자 김범수 미래이니셔티브센터장이 종합감사 증인으로 채택되면 3년 연속 국감에 출석하게 된다.
sojin@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