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무위 26일 최수연·산자위 27일 홍은택 종감 증인 재택
네이버 "'1+1' 보편적 서비스…아이디어 도용 사실 아냐"
카카오VX·모빌리티·헬스케어까지 中企 기술침해 분쟁 중
![]() |
▲최수연 네이버 대표(왼쪽)·홍은택 카카오 대표. |
[에너지경제신문 윤소진 기자] 올해 국정감사에서 집중포화 대상이 된 네이버와 카카오가 스타트업 아이디어 도용, 기술 탈취 의혹 등으로 오는 26~27일 열리는 종합 국정감사(종감)에서도 타깃이 됐다. 양사는 해당 논란을 전면 부인하고 있지만 의혹 제기만으로도 기업 이미지에 큰 타격을 입을 수 있어 각 기업의 수장이 직접 국감장에 나와 적극적인 해명에 나설지 주목된다.
◇ ‘1+1’이 도용이라고?…네이버의 반박
19일 업계에 따르면 네이버, 카카오 주요 경영진이 종합국감에 추가 증인으로 채택됐다. 국회 정무위원회(정무위)는 오는 26일 종감에 최수연 네이버 대표와 이상철 네이버비즈 사내독립기업(CIC) 대표를 증인으로 채택했다.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산자위)도 오는 27일 홍은택 카카오 대표를 소환한다. 막판 증인 명단이 변경될 가능성을 배제할 순 없지만, 현재 논란이 커지고 있는 만큼 양사 주요 경영진의 종감 참석 가능성이 높게 점쳐진다.
먼저 네이버는 이커머스 스타트업 ‘뉴려’의 아이디어 도용 의혹에 휩싸였다. 뉴려 측의 주장은 전 제품을 원플러스원(1+1) 할인 방식으로 판매하는 서비스 ‘원플원’을 선보였는데, 네이버가 3개월 후 이러한 아이디어를 도용한 ‘원쁠딜’ 서비스를 출시해 막대한 손해를 입혔다는 것이다.
이에 네이버는 "뉴려의 원플원 서비스 출시보다 앞서 원쁠딜의 상표권 등록을 이미 완료했다"며 "원쁠딜은 ‘핫딜(특정 기간 중 특가 판매)’ 서비스기 때문에 그 형태는 물론 가격 구성, 판매 기간, 입점 기준 등에서 완전히 다른 서비스"라고 강조했다.
업계와 여론의 반응도 여타 대기업과 스타트업 간 분쟁 사례와는 사뭇 다르다. 업계 한 관계자는 "‘1+1’이라는 마케팅이 이미 커머스 업계에서 널리 퍼져있는 방식이기 때문에 도용을 주장하는 것은 무리라는 의견이 주를 이루지만, 브랜드 이미지 타격은 불가피할 것"이라고 말했다.
◇ 계열사들 잇딴 잡음에 카카오 ‘진땀’
카카오는 계열사의 기술 탈취 논란으로 곤혹을 겪고 있다. 당초 산자위는 지난 12일 문태식 카카오VX 대표를 증인으로 소환할 예정이었으나 철회했다. 카카오게임즈 자회사 카카오VX는 골프 플랫폼 ‘스마트스코어’의 기술을 탈취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앞서 스마트스코어는 올해 초 카카오VX가 자사 골프장 스코어 운영 솔루션 등을 모방했다며 소송을 제기했다. 이후 서울중앙지방법원이 해당 소송 건을 기각하며 일단락되는 듯 했으나, 카카오VX 직원이 스마트스토어 관리자 페이지를 총 577번 무단 접속한 사실이 드러나면서 다시 도마 위에 올랐다.
카카오모빌리티는 화물 운송 중개 플랫폼 ‘화물맨’의 기술 탈취 의혹을 받고 있다. 화물맨은 카카오모빌리티가 지난 2021년 자사 인수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아이디어를 탈취해 서비스를 출시한 것이라고 주장하지만 카카오모빌리티는 이를 전면 부인하고 있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입장문을 내고 "화물맨이 회사 아이디어라고 주장하는 ‘빠른 정산’과 ‘맞춤형 오더’는 다수 국내 물류 플랫폼 기업들이 오래전부터 제공해 온 기능으로 화물맨 고유 아이디어라고 보기 어렵다"고 반박했다. 이 밖에 카카오헬스케어도 닥터다이어리와 혈당 관리 플랫폼 사업 관련 기업비밀 탈취 여부를 두고 갈등을 빚고 있다.
sojin@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