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신문 오세영 기자] 우리나라 국민들이 고등학생 시기에 생애주기상 가장 많은 소비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지출 등으로 17세에 1인당 3575만원을 지출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27세부터는 노동소득이 소비를 웃돌아 흑자를 기록하다가 61세부터 다시 적자로 돌아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은 이런 내용의 ‘2021년 국민이전계정’을 28일 발표했다.
국민이전계정은 연령 간 경제적 자원 배분의 흐름을 살펴보기 위해 작성되는 지표로 연령 변화에 따른 소비와 노동소득의 관계를 분석한다.
지난 2021년 우리나라 국민의 총소비는 1148조8000억원으로 1년 전보다 6.2% 늘었다. 노동소득은 1040조원으로 5.7% 늘었다.
소비와 노동소득의 차액인 생애주기적자는 108조8000억원으로 11.6% 늘었다.
노동연령층(15∼64세)에서 179조7000억원 흑자를 기록했다. 노동소득의 총액이 소비보다 더 많았다는 의미다.
유년층(0∼14세)에서는 151조8000억원, 노년층(65세 이상)에서는 136조7000억원 각각 적자였다.
1인당 생애주기로 보면 소비가 가장 많은 시기는 17세로 3575만원을 썼다. 고등학교 시기에 공공교육소비로 1151만원을 지출하는 등 교육소비의 영향이 컸다.
1인당 노동소득은 17세부터 생겨 43세에 3906만원을 기록해 가장 많았다.
생애주기로 보면 0세부터 26세까지는 노동소득이 소비보다 적어 적자를 보였다. 27세부터는 흑자가 발생하지만 61세에 다시 적자로 돌아섰다.
적자로 재진입하는 연령은 일하는 고령층이 늘어난 영향 등을 받아 2010년 56세, 2015년 58세 등으로 점점 늦춰지고 있다.
적자 규모가 가장 많은 시기는 소비가 가장 많은 17세(3527만원 적자)였다. 흑자가 가장 많은 시기는 노동소득이 가장 많은 43세(1792만원 흑자)였다.
총소비 가운데 공공소비는 377조8000억원, 민간소비는 771조1000억원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로 보면 노동연령층에서 817조원을, 65세 이상에서 180조원을 지출했다. 65세 이상의 총소비가 1년 전보다 13.1% 늘었는데 민간교육소비(126.7%), 공공교육소비(24.7%) 등에서 큰 폭으로 늘었다.
claudia@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