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중견 한국건설 ‘유동성 위기’ 촉발…자금난에 무너지는 지방 건설사들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4.01.15 15:13

한국건설 수분양자들 매월 이자 직접 납부할까 불안감에 떨어



미분양 문제 심각했던 지방 건설사 부도 급증…약 한 달간 8곳



전문가 "지방 건설사라고 해서 특별한 묘수 없어…시장원칙 지켜야"

KakaoTalk_20230403_154610692

▲최근 자금난을 견디지 못해 부도 처리되거나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를 신청하는 지방 건설사들이 급증하고 있다. 사진은 지방의 한 아파트 건설 현장. 사진=에너지경제신문 김다니엘 기자


[에너지경제신문 김다니엘 기자] 지방건설사들이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여파로 휘청거리고 있다. 광주 지역 중견 건설사인 한국건설이 은행에 중도금 이자를 내지 못하면서 ‘유동성 위기’ 우려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자금난을 견디지 못해 부도 처리되거나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를 신청하는 지방 건설사들이 부쩍 늘어나고 있다. 지방건설사들의 경우, 고금리 및 원자잿값 급등 속 사업지 등 경쟁력이 떨어져 태영그룹같이 워크아웃(기업재무구조개선)으로 가기 힘든 실정이어서 이같은 줄도산은 향후 지속될 전망이다.


◇ 한국건설 대책 마련 약속에도 불안감 ‘여전’

15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한국건설이 광주 동구 등에 짓고 있는 4개 아파트 단지 수분양자들은 지난 11일 대출 은행으로부터 한국건설 측이 내야 할 중도금 이자 상환을 요구하는 안내 문자를 받았다.

안내 문자는 해당 아파트 분양과 관련해 중도금을 추가로 대출해 줄 수 없으며 건설사 측이 중도금 이자를 내지 않았으니 수분양자가 직접 내라는 내용이었다. 중도금 이자는 가구당 매월 70만원이 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해당 아파트에는 ‘중도금 무이자 조건’으로 분양이 이뤄져 중도금 대출이자를 한국건설이 부담하고, 만약 한국건설이 이를 부담할 수 없을 경우 분양자가 부담하는 형식의 계약이 포함됐다.

대출 은행 측은 해당 신축 아파트의 공정률이 50% 상당 진행됐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30%대에 머물고 있으며, 지난해 9월 이후에는 관련 공정률을 은행에 제출하지 않았다는 점을 고려해 이와 같은 판단을 내린 것으로 전해졌다.

이 같은 유동성 위기가 불거지면서 수분양자들의 원성은 한 달에 70만원이 넘어가는 이자를 완공시기까지 어떻게 부담하느냐를 두고 높아지고 있다.

특히 주택도시보증공사(HUG)의 분양 보증을 받지 않은 30가구 미만의 한 아파트 단지 분양 계약자들은 ‘억대’의 계약금을 날리지 않을까 노심초사하고 있다.

이에 한국건설은 최근 해당 아파트 단지 분양계약자들에게 중도금 이자 납입 지연에 따른 사과 및 대책 마련을 약속했다.

한국건설 측은 "아파트 시공 사업과 관련해 고객님의 중도금 대출 이자를 납입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했다"며 "피해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모든 방안을 강구하고 있으며 조속히 해결 방안을 마련하도록 하겠다"고 답변했다.


◇ 부도 건설업체 급증…"회복 기미도 없다"

최근 태영건설이 워크아웃을 개시하는 등 국내 건설업계의 ‘돈맥경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전부터 미분양이 심각했던 지방 건설사들의 유동성 문제가 심화되며 부도 건설업체가 급증하고 있다.

이날 법원 공고에 따르면 지난해 12월에만 건설사 10여 곳이, 이번 달에는 4곳이 법정관리를 신청한 뒤 법원으로부터 포괄적 금지명령을 받았다. 해당 건설사들은 대부분 지방 중견·중소 업체들이다.

최근 법정관리를 신청한 건설업체 중에는 지역 내 1위 업체로 꼽히는 중견 건설사까지 포함돼, 이러한 상황이 하청업체들로 미치는 파장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부도 처리되는 지방 건설업체 또한 급증하고 있다.

건설산업지식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지난달부터 부도 처리된 지방 건설업체는 총 8곳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러한 상황에 지방 분양시장에서는 청약자들이 종적을 감추며 유동성 사태 해결의 기미 또한 보이지 않고 있다.

이은형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지방에서도 메이저 건설업체 사업지들은 사업성이 높은 반면 중소건설사들의 경우 비교적 경쟁률이 떨어진다"며 "정부가 이러한 상황에 대해 모두 지원하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지방 건설업체들이 회생 가능성이 있다면 워크아웃으로 가겠지만 그게 아니라면 법정관리로 가는 것"이라며 "지방 건설업체라고 해서 특별히 다른 회생 방안은 없다"고 덧붙였다. 
김다니엘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