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 원톱 쿠팡 연대기] (중) 아마존에 답 있다…김범석의 ‘한국 제프 베이조스’ 꿈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4.03.04 17:05

‘소셜 태생’ 닮은꼴…아마존전략 추구 단기간 급성장

2021년 美 상장 결실, 국내최대 유통기업 자리매김

공격적 투자로 OTT·배달앱 등 사업 다각화 가속도

대만 진출 해외사업도 흥행 ‘아시아 아마존’ 기대감

쿠팡이 창립 13년만에 '첫 연간흑자, 31조원 최대 매출' 달성으로 유통업계 원톱에 올랐다. 그동안 쿠팡이 줄곧 주장해온 '계획된 적자' 실현과 함께 이커머스업계 고질적 문제인 수익성 개선에 성공해 유통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다. 쿠팡의 놀라온 성장을 이끈 핵심 원동력은 '로켓배송' 서비스다. 여기에 더해 배달앱·OTT(온라인 동영사 서비스), 대만 진출까지 사업 영역을 확장하고 있어 '쿠팡 굴기(崛起)'의 잠재력을 과시하고 있다. 다만, 최근 알리익스프레스·테무 등 중국의 초저가 이커머스들이 국내로 속속 진출해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어 쿠팡의 미래가 마냥 장밋빛만 아니다. '유통 원톱' 쿠팡의 사업 성과와 향후 과제 등을 3회에 나눠 살펴본다. <편집자주>




김범석 쿠팡 창업자

▲김범석 쿠팡 창업자 사진=쿠팡 제공

“고객이 '쿠팡 없이 어떻게 살았을까'라고 묻게 만들겠다."


김범석 쿠팡 창업자 겸 이사회 의장이 지난 2021년 3월 뉴욕 증시(NYSE) 상장 기념 인터뷰에서 한 말이다.



로켓배송으로 유통업계 혁신을 이끈 쿠팡은 미국 증시 상장에 성공, 당시 시가총액 100조원을 기록했다. 국내 단일 기업 기준으로만 살펴보면 삼성전자, SK하이닉스에 이어 세 번째로 큰 규모였다. 이러한 미국 상장은 쿠팡의 성장 히스토리 중 빠뜨릴 수 없는 사건 중 하나다.


◇ 소셜 태생 쿠팡, 韓최대 유통기업으로 자리매김




쿠팡의 성장은 창업자 김범석 의장을 빼놓고서는 설명할 수 없다. 쿠팡이 '한국의 아마존'이라면, 김 의장은 '한국의 제프 베이조스(아마존 창업자 겸 대표)'에 해당한다.


미국 경제전문매체 '패스트컴퍼니'는 쿠팡이 미국 증시에 상장을 하기 전부터 '2019년 가장 창의적인 인물 100인'에 김 의장을 선정하며 “한국의 제프 베이조스"라고 소개한 바 있다.




김범석 의장은 지난 1978년 한국에서 태어나 중학교 때 미국으로 이민한 한국계 미국인이다. 하버드대 재학 시절인 1998년 시사 잡지 '커런트'를 창간해 3년 만에 뉴스위크에 매각하는 등 일찌감치 사업가의 면모를 드러냈다. 보스턴컨설팅그룹(BCG)에서 2년간 근무하며 각종 경영 이론과 사례를 익히기도 했다.


이후 2010년부터 한국에 돌아와 쿠팡을 창업했을 때는 티몬, 위메프처럼 소셜커머스 기업을 표방했다. 하지만 롤모델이었던 미국 그루폰이 휘청이자 아마존 모델로 과감하게 방향을 틀었다.


특히, 2014년부터는 업계 최초로 밤 12시 전에 주문하면 다음 날 받아볼 수 있는 익일 배송 서비스 '로켓배송'을 선보이며 전대미문의 경영 실험을 시작했다.


조 단위 적자를 거듭하며 쏟아지는 시장의 우려에도 김 의장은 '계획된 적자'라며 시장과 투자자들을 설득했다. 그 결과 마침내 네이버, 이마트, 롯데를 뛰어넘는 한국 최대 유통 기업으로 성장했다


◇ OTT‧배달앱 등 사업 다각화 넘어 대만 진출…'아시아의 아마존'될까


주목할 점은 창업자인 김 의장의 사업 철학과 전략이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 기업인 아마존 창업자인 제프베이조스의 전략과 유사하다는 점이다.


물론 김 의장이 공식적으로는 아마존이 롤모델이라고 말한 적이 없다. 하지만 그동안 자신의 어록과 사업 전략을 보면 제프 베이조스의 어록 및 전략과 상당부분 닮아 있다.


우선 아마존과 쿠팡 모두 '고객 만족'이 경영의 최고가치라는 점에서 동일하다. 제프베이조스의 어록 중에는 '고객을 가장 먼저 생각하라, 새로운 것을 개발하라, 그리고 끝까지 인내하며 기다려라'라는 어록이 있다. 이는 “고객이 와우하게 만들자(WOW the Customer!)"라는 쿠팡의 사업 철학과 유사한 부분이다.


물류사업 전략도 닮았다. 아마존은 과거 물류사업을 확대하기에 앞서 많은 주문량을 한꺼번에 처리하기 힘들어 일부를 외부에 위탁했다. 그러나, 풀필먼트바이아마존이라는 물류인프라를 구축한 뒤로는 외주화 비중을 줄이고 물류 서비스를 내재화했다.


쿠팡 역시도 물류센터 투자를 시작한 이후 일정 기간 시간이 지나자, 택배사에 맡겼던 물량 일부를 직접 맡으며 자체 배송 서비스를 강화해나갔다.


전문가들은 쿠팡의 사업 확장 전략도 아마존과 비슷하다고 본다.


전 유통학회장인 서용구 숙명여대 교수는 “아마존의 클라우드·오프라인매장·B2C(기업과 소비자간 거래) 커머스·풀필먼트·OTT 결제서비스 등 6개 비즈니스 중 클라우드 및 오프라인 사업을 빼면 나머지는 다 쿠팡이 하고 있는 것"이라며 쿠팡이 아마존의 사업 전략과 일치하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쿠팡은 물류센터 투자 확대를 로켓배송 서비스를 선보인 이후 쿠팡플레이(OTT), 배달앱 쿠팡이츠 등 국내 시장에서 사업을 확장하며 성장세를 키우고 있다.


또한, 쿠팡은 성장 원동력인 로켓배송 서비스를 내세워 대만 시장에도 진출했다. 쿠팡은 2022년 10월부터 한국에서 입증한 로켓배송 모델을 대만에 도입해 현지에서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김범석 의장은 지난달 28일 컨퍼런스콜에서 “대만 로켓 런칭 후 현지 고객과 매출이 지난해 2개 분기(3~4분기) 동안 2배 증가했다"며 “한국에서 로켓 출시 후 같은 기간 경험한 성장률을 넘어섰다"고 말했다.


앞서 대만에 물류센터 2곳을 구축한 쿠팡은 올 상반기에 추가로 1곳을 더 건립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쿠팡의 해외 진출 확대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항간에선 쿠팡이 '아시아의 아마존'으로 거듭날 수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서예온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