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주영 부사장 “에너지 밀도 향상·안전성 향상 두 마리 토끼 잡겠다”

▲고주영 삼성SDI 부사장은 25일 서울 강남구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열린 'NGBS 2024'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7년 전고체 배터리(ASB) 양산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는 것을 알지만, 차질 없이 진행하기 위해 최대한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고주영 삼성SDI 부사장은 25일 서울 강남구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SNE리서치 주최로 열린 '2024 넥스트 제너레이션 배터리 세미나&튜토리얼스(NGBS 2024)'에서 “전기차 침투율 향상을 위해서는 기술·가격 경쟁력이 높아져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삼성SDI가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을 택한 것도 이 때문으로 보인다. 고 부사장은 “이온 전도도가 리튬이온배터리(LIB) 보다 떨어지면 안 된다"고 강조했다.
이어 “옥사이드는 셀을 크게 만들기 어렵고, 폴리머는 이온 전도도가 낮은 것이 단점"이라며 “수분과 반응성이 높은 황화물계 단점 컨트롤을 위해 노력 중"이라고 덧붙였다.
ASB는 전해질을 고체로 만든 것으로 주행거리 연장과 화재 위험성 완화 등의 강점을 가진 것으로 평가된다.
고 부사장은 “LIB의 에너지 밀도는 ㎏당 290Wh, 반고체는 400Wh 이하인 반면 ASB는 450Wh 정도로 끌어올릴 수 있다"며 “분리막이 빠지고 음극이 리튬메탈도 대체되면서 부피도 감소한다"고 설명했다.
고 부사장은 “최근 개최된 '인터배터리 2024' 컨퍼런스에서 완성차 고객사 3곳에게 ASB 샘플을 제공하고 평가가 진행 중이라고 했는데 이후로 더 많은 고객사가 생겼다"고 밝혔다.
프라이맥스(PRiMX) ASB가 에노드레스 구조를 채택한다는 점도 언급했다. 비정상적인 덴트라이트 현상 방지를 위함이다.
그는 “에너지 밀도를 높이면서도 안전성을 유지하기 위해 하이니켈 NCA 양극재를 사용할 것"이라며 “현재 LIB 수준의 수명도 구현하겠다"고 발언했다.
4.25V 기준 LIB 보다 40도 가량 높은 온도(약 170도)에서부터 전압이 떨어진다는 테스트 결과도 소개했다.
또한 “특정 셀에서 발생한 문제가 다른 셀로 전이되는 확률이 낮다"며 “배터리 무게를 최대 16% 줄이는 것도 가능하다"고 부연했다.
고 부사장은 “D~E 세그먼트를 비롯한 주행거리 1000㎞ 이상급 슈퍼 프리미엄급 전기차가 현재로서는 메인 타겟"이라며 “국내 공급망 구축 등 중국 의존도를 낮추고자 한다"고 발언했다.
다만 “출시 직후 가격경쟁력이 LIB를 상회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며 “시장 진입을 위한 비용이 필요하고, 규모의 경제 구현까지 시간이 걸리기 때문"이라고 발언했다.